대규모 ELS 손실 사태의 주인공, 홍콩 H지수가 최근 들어 빠르게 반등하고 있습니다.
ELS 투자 손실이 줄어들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부 김보미 기자 나왔습니다.
김 기자, 홍콩 H지수 차트를 보니까, 올해 초와 비교하면 거의 30% 정도 오른 거네요.
<기자>
네. 1월에 연저점을 찍었던 홍콩H지수는 지난달 20일 전후를 기점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H지수가 6500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만입니다.
<앵커>
이렇게 되면 ELS 투자 손실 규모도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지 않겠습니까? 어떻게 예상되고 있습니까?
<기자>
은행권에서는 H지수가 6500 현 수준을 유지할 경우, 5월 이후 추가 손실 예상액이 약 1조1천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당초 2월에 H지수가 5700선을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추정했던 금액의 절반 수준입니다.
손실률로 보면, H지수가 6500선을 이어갈 경우 50%에서 4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ELS는 일반적으로 만기 때 지수가 가입 당시 지수의 65~70% 이상이 돼야 원금손실을 면할 수 있는데요.
ELS 만기가 통상 3년이니까 2021년 당시 홍콩 H지수의 65~70%, 즉 6700~8500선까지는 올라와 줘야 완전히 손실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은행들, 이미 손실 추정액을 충당금으로 쌓아놓지 않았습니까?
지수가 상승한 만큼 손실이 줄어들면, 은행들의 배상액도 줄어들겠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은행권에서는 1년치 ELS손실 배상액을 보수적으로 예상해, 이미 1분기 실적에 비용처리를 해둔 상태입니다.
때문에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대비 30% 넘게 급감하는 곳들도 있었는데요.
만약 연말 혹은 내년 초에 가서 봤는데 실제 배상액이 예상보다 적을 경우, 선제적으로 비용 처리했던 부분에서 차액이 다시 이익으로 환입될 전망입니다.
<앵커>
결국, 홍콩H지수가 언제까지, 어디까지 오르느냐가 관건인데. 전망은 어떻습니까?
<기자>
증권가에서는 단기적으로 2분기, 좀 더 가면 7월 정도까지 봤을 때 최고 7000선까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판 밸류업 ‘국9조 프로그램’으로 기업들의 자사주매입과 배당이 확대되고 있고, 7월로 예정된 3중전회에서 파격적인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 시장 기대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인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성연주 신영증권 연구원: 중국이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을 굉장히 강도 높게 진행하고 있어요. 홍콩도 보면 텐센트의 1분기 자사주 매입이 전년대비 3배 정도 늘어났어요. 단기적으로 7월 정도까지는 (홍콩H지수)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지만 4분기 들어서 변동성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거든요.]
<앵커>
4분기 들어서 변동성이 커질 것이다. 어쨋든 지속적으로 상승하긴 어렵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데, 그 이유는 뭡니까?
<기자>
우선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이 7월 정도면 마무리되는데, 이후 투자자들의 차익실현으로 일시적인 조정가능성이 점쳐지고 있고요.
또 미국 FOMC와 대선 결과, 중국 부동산기업들의 디폴트 리스크 등이 각종 변수로 작용하면서, 하반기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견해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경제부 김보미 기자였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