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주주 지분율' 주목
다음 이슈로 넘어가겠습니다.
김 기자, 최근 밸류업 프로그램 2.0을 맞이해 중·소형주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올해 밸류업 프로그램이 발표되고 나서 시장의 관심은 주주환원 여력이 높은 대형주 위주로 움직였습니다. 그만큼 이러한 분석이 굉장히 신선한데요.
전문가들은 일본의 사례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도 했다고요?
<기자>
일본의 경우 정부의 증시 부양 정책 발표 이후 '배당과 주주환원을 강조한 액티브 ETF'들이 일본 주식시장에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ETF는 상장 이후 2024년 4월 말까지 TOPIX 지수를 밑도는 성과를 기록한 반면, 일본 국채 금리의 등락에도 제약을 받지 않고 성장주 강세 국면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기록한 ETF도 존재했는데요.
실패 사례를 먼저 보면 오너 기업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상속 및 증여세 부담에 노출된 오너 입장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어렵고 이미 PBR도 높은 수준으로 형성돼 있어서 상승 모멘텀을 추종하지 못한 겁니다.
한편 성공 사례는 '중·소형주'에 특히 집중하는 펀드라는 점이 특징이었는데요. 밸류업 초기에 대형주의 PBR 저평가가 가장 먼저 해소되면 그 이후에는 중·소형 저평가 종목으로 시장의 관심이 이동합니다. 게다가 중·소형주의 경우 주주 환원 정책 실행 시 대형주 대비 투자 매력도도 더 높아질 수 있어 성공적인 수익률을 기록한 겁니다.
<앵커>
한국 증시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한 만큼 일본의 현재를 통해서 우리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거군요.
그렇다면 이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증권가에서 내놓은 주도주의 조건과 추천 종목들은 무엇이 있습니까?
<기자>
그간의 밸류업 주도주의 3가지 기본 조건은 현금흐름, 수익성, 주주환원이었는데요. 여기에 붙게 되는 1가지 추가 조건이 바로 '최대 주주 지분율'입니다.
최대 주주 지분율이 낮아서 주주환원을 유도하기 쉽거나, 높더라도 최대 주주의 주주환원 의지가 확인되는 기업을 확인하라는 뜻인데요.
이에 증권가에서는 최대 주주 지분율이 낮고, 투자회사가 지분 참여한 기업 혹은 최대 주주 지분은 높지만 주주환원 의지 강한 기업, 마지막으로 최대 주주 지분은 모호하지만, 주주환원 의지는 확인되는 기업을 주목하라고 설명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