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의 부자 순유출 규모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영국의 투자이민 컨설팅업체인 헨리 앤 파트너스는 18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년 헨리 개인자산 이주 보고서'(Henley Private Wealth Migration Report 2024)에서 이같이 밝혔다.
헨리 앤 파트너스는 자산정보업체 뉴월드웰스의 자료를 인용해 고액순자산보유자(HNWI) 국가별 유입·유출 전망을 분석했다고 말했다.
고액순자산보유자 유출입은 유동성 투자 가능 자산을 미화 100만달러(약 13억8천만원) 이상 보유한 부자들이 타국에서 6개월 이상 머문 경우를 기준으로 삼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고액순자산보유자 순유출은 올해 1천200명으로, 중국(1만5천200명), 영국(9천500명), 인도(4천300명)에 이어 4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400명에서 2023년 800명으로 두배가 되며 7위로 올라섰고, 올해는 다시 50% 증가하며 역대 최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부유층들이 향하는 곳은 미국, 호주, 캐나다 등으로 분석됐다.
헨리 앤 파트너스의 개인고객그룹 대표 도미닉 볼렉은 올해가 자산가들 이동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자산가 이주는 총 12만8천명으로 지난해 기록(12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며 "지정학적 긴장, 경제 불확실성, 사회 격변 등이 이유"라고 말했다.
영국은 올해 부유층 순유출이 지난해보다 배 이상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은 2016년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투표 이후로 자산가 이탈 추세가 본격화했다.
지난 수십년간 세계 각지에서 부자들이 영국으로 몰려왔는데 이제는 거꾸로 '엑소더스'가 벌어져서 2017년부터 6년간 1만6천500명이 순유출됐다.
다음 달 총선 후 부자 과세를 지향하는 야당 노동당이 집권할 가능성이 큰 점도 순유출 요인으로 꼽힌다.
러시아는 올해 순유출이 1천명으로 5위에 올랐지만 우크라이나전쟁이 발발한 2022년 8천500명과 2023년 2천800명에 비해선 급감했다.
이 밖에 대만(400명)이 8위, 베트남(300명)이 공동 9위였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올해 순유입 6천700명으로 1위이다. 개인 소득세가 없고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면서 마치 자석처럼 부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직후엔 러시아 부자들이 몰려갔고 이제는 영국과 유럽인 이주가 많아졌다.
이 밖에 미국(3천800명), 싱가포르(3천500명), 캐나다(3천200명), 호주(2천500명)가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후 중국 부자들이 이주하면서 일본이 400명으로 10위에 올랐다.
가자 전쟁으로 인해 이스라엘은 처음으로 순유입국 상위권에서 탈락했다.
뉴월드웰스의 연구 책임자 앤드루 아몰리스는 "자산가가 이주해오면 외환 수익이 발생하고, 그들이 새로운 사업을 벌이면 현지에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 고액순자산보유자가 10만9천600명으로 세계 15위로 분석됐다. 미국(549만2천400명), 중국(86만2천400명), 독일(80만6천100명), 일본(75만4천800명), 영국(60만2천500명)이 상위 5위권이다.
한국의 1억달러 이상 자산가는 233명, 10억달러 이상 자산가는 24명으로 추산됐다.
한국의 고액순자산보유자는 2013년 이후 10년간 28% 증가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