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승호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외환 통계 등 실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외주식·채권 투자가 증가하면 원화 환율 상승에 뚜렷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해외증권 투자가 2010년 이후 계속 가파르게 우상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시장이 저금리·저성장 기조에 들어서며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등 고수익 투자처로 몰리기 때문이다.
해외증권 투자잔액은 2015년 2천355억달러(한화 324조4천742억원)이었다가 작년 8천576억달러(1천181조4천720억원)로 8년 사이 3.6배로 불어났다.
작년 투자 잔액에서 해외 주식이 차지하는 비율은 72.6%에 달했다.
투자 주체별로는 국민연금 등 정부가 작년 투자 잔액의 43%를 차지해 가장 덩치가 컸고 특히 최근 들어서는 개인투자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이 위원은 전했다.
정부를 제외한 민간 국외 투자에서 '개미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7.3%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20% 내외까지 올라갔다.
이 위원은 외국주식·채권의 투자자금 유출입 현황과 환율 등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여러 변수의 관계성을 추정하는 통계 분석)을 한 결과 해외증권 투자가 실제 원화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동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해외증권 투자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정책당국은 외환 수요가 증가해 원화 환율의 상승 압력이 나타날 개연성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최근 고환율 상황에서 해외투자가 환율상승을 가속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환율안정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당국은 우리나라 경제주체의 해외증권 투자가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자 외환 매입이나 환전·해외송금과 관련한 시장 인프라를 점검하고 제도적 개선 사항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은 그러나 해외증권 투자가 긍정적 요인이 많다고 평했다. 국외 금융 자산을 쌓아 안정적 소득수지 흑자에 기여하고, 국내 외화 유동성이 악화할 때 안전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해외증권 투자는 환율 안정 기능도 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고 통화정책 완화로 전환하면 원화 환율이 갑자기 떨어질 수 있는데, 해외증권 투자는 이런 '하방 압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 위원은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