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내수 지표인 소비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가 다섯달째 "내수가 회복 조짐을 보인다"는 평가를 이어갔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가 10개월째 내수가 부진하다는 판단을 내놓으면서 경기진단에 엇박자도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견조한 수출·제조업 중심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이는 지난달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과 그에 따른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평가를 유지한 것이다.
또 이달에는 설비투자에 더해 서비스업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표현이 추가됐다.
다만 '부문별 속도차'를 언급하며 수출 호조에 따른 경기 선순환 효과가 아직 충분치 않다는 점을 시사했다.
정부의 '내수 회복 조짐' 진단은 다섯 달째 이어지고 있다. KDI 등 외부의 평가와는 여전히 온도차가 크다.
KDI는 지난 9일 발표한 '경제동향' 9월호에서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며 10개월째 내수 부진 판단을 내렸다.
최근 내수지표를 세부적으로 보면 7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2.1% 줄었다.
백화점·마트 등 카드 승인액과 자동차 내수 판매량은 긍정적 요인이었지만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2.8포인트) 등은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다른 내수 지표인 건설투자도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5.3% 줄었다. 건설수주 증가는 중장기 건설투자에 긍정적, 낮은 수준의 아파트 분양 물량은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2.2%)과 설비투자(18.5%)는 증가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고속도로 통행량, 차량연료 판매량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주식 거래대금 감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대외 여건과 관련해서 정부는 교역 개선,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전환 등으로 회복세지만 지역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 분쟁 확산 우려와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 안정 기조를 안착시키고, 소상공인 등 맞춤형 선별 지원과 내수 보강 등을 통해 민생 안정을 위한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국민 삶의 질 제고와 경제 지속 가능성 강화를 위한 역동 경제 로드맵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