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인하하지만 금융안정을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기 때문에 매파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회의에서 연 3.25%로 기준금리를 0.25%p 내린 후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총재가 이 자리에서 매파적 인하를 언급한 것은 추가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론을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이 총재는 금리를 내렸지만 현 상황에 대해 금융 안정을 판단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금융안정 단언하는 것 당연히 아니"라며 "정부 가계부채 안정에 대한 의지가 강해서 한은도 금리인하 속도조절하면서 금융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시기를 놓쳤다는 실기론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총재는 "이게 옳았는지 지금 판단하기 어렵고 1년 지나서 경제 상황과 금융 안정을 달성했는지 보고 평가하며 좋겠다"며 "서울 집값이 급등하고 있고, (금리를) 인하하면 더 빨리 오를 위험이 있어 사전 조치하고 주택관련 심리를 추가 자극하지 않도록 정부와 이야기해서 거시안전성 정책을 강화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예상하신건지 그 분들께 여쭤봐달라"고 반문했다.
고물가 대응에 좌고우면하면서 금리를 더 올리지 못해 내수 부진에 빠졌다는 평가에 대해서도 날선 반응을 보였다. 이 총재는 "2%를 어느나라보다 빠르게 달성했고, 그 과정에서 PF부실, 외환시장 불안도 큰 문제없이 관리 했다"며 "금리를 더 큰 폭으로 인상했다면 자영업자 고통과 내수부진이 훨씬 심각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내수가 회복 중이라 하더라도 경제성장률 보다 낮고, 잠재성장률도 크게 높지 않아 불필요하게 금리를 높게 유지할 필요는 없다"며 내수 전망에 대한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결정할 11월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11월 경제전망과 데이터를 보고 그 사이 가계부채 안정 추세와 수도권 부동산 가격 움직임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또 전체 가계대출에서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20~30% 미만이라는 점을 들어 은행들의 자체 건정성 관리도 주문했다. 그는 "정책금융이 큰 폭으로 나가 커지고 있던건 2023년 말. 가계부채의 70% 정도가 정책금융이었지만 지금은 20~30% 수준"이라며 "나머지는 은행들이 세운 가계대출에 대한 계획안보다 중간에 여러가지 경쟁이나 다른 이유 때문에 훨씬 더 목표치를 넘겨서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