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 미국 증시, 이해하기 쉽지 않은 결과가 발생했습니다. 악재가 많았는데도 불구하고 증시가 왜 급등한 것입니까?
- 에이태큼스+스톰섀도(사거리 550km) vs. IRBM(사거리 5500km)
- 3차 대전 발생하나? ‘지정학적 위험’ 최고조
- 3분기 엔비디아 실적, ‘젠슨 황의 법칙’ 미흡
- 매출액 350억$, 예상치 334억$+20억$에 부족
- EPS 81센트, 예상치 75센트+11.5센트에 미달
- 고금리·강달러, 글로벌 자금 美 증시로 유입
- 10년 금리 4.4% 돌파·달러인덱스 장중 107대
- 美 국채와 상업용 부동산 외면…3대 주가 상승
Q. 오늘 시장의 또 하나의 관심사는 비트코인 가격인데요. 게리 젠슬러 SEC 위원장의 사임 소식이 최대 호재였지 않았습니까?
-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트럼프와 대립
- ‘비트코인 왕국론자’ 트럼프, 취임 즉시 겐슬러 사퇴
- SEC 위원장 사임, 연준 의장은 언제 사퇴하나?
- 겐슬러, 비트코인·가상화폐 부정론자 대표
- 겐슬러 사임, 비트코인·가상화폐 ‘최대 호재‘
- 비트코인·가상화폐 관련 상품 활성화 기대
- 비트코인 가격, 장중 한 때 ‘10만 달러’ 육박
Q. 미국으로 몰려가는 글로벌 자금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외면하고 있다고 말씀하셨는데요. 부동산 재벌인 트럼프가 당선된 것으로 봐서는 이해되지 않는 현상이지 않습니까?
- 트럼프 당선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 최대 화두
- 트럼프 트레이드 양대 축, ‘테슬라와 비트코인’
- 트럼프 당선 이후 각각 50% 올라 최대 수혜
- 하지만 트럼프 당선자, ‘부동산 재벌’로 알려져
- 트럼프 당선되면 상업용 부동산 최대 수혜자?
- 상업용 부동산, 트럼프 트레이드 상징 못 되나?
- 상업용 부동산 시장, 당선 후 침체 더 깊어져
Q.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세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상황은 어떤지 그 움직임을 말씀해 주시지요. 상황이 아주 심각하지 않습니까?
- IMF “올해 세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최악의 해”
- 세계 상업용 부동산 가격, 최고점 대비 25% 폭락
- 美 상업용 부동산 가격 -30%, 갈수록 낙폭 확대
- 美 상업용부동산 투자 만기, 올해부터 집중 상환
- 2026년까지 2조달러, 그 중 올해 9290억 달러 만기
- loss cut 시장 경쟁, 상업 부동산 가격 간 악순환
- 연준 금리인상 후 리스케줄링 비용 3배로 상승
- monthly cost-benefit vicious, 리스케줄링 중단
Q. 그렇다면 지난 9월 이후 두 차례 금리를 내렸다면 리스케줄링이 풀려야 되지 않겠습니니까?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 9월 FOMC 후 피벗 추진에도 국채금리 상승
- 10월 이후 물가 ‘재상승세’·고용지표 ‘타이트’
- 뒤늦은 피벗 추진 실수?...수수께끼 현상 발생
- 국채금리 상승, 리스케줄링 어려워지는 요인
- 트럼프 정부 출범 시 국채금리 더 상승
- 감세와 뉴딜 추진, 美 국채 디폴트 위험 증가
- 재정지출 인플레, 기준금리 인하 어려워질 듯
- 디지털과 재택 근무, 상업용 부동산 회복 쉽지 않아
Q. 또 하나 가려진 것이 한국 증권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인데요. 외국인 투자자 사이에는 “캐도 캐도 끝이 안보인다”라는 시각까지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韓 해외 부동산 투자, ‘바퀴벌레 이론’ 비유
- 바퀴벌레 한 마리 발견, 벽장 속에는 떼가 있어
- 시가 반영 못하는 해외 부동산, 잠재손실 커져
- 국민연금, 美 쇼핑물 투자펀드 EOD 손실 발생
- EOD(Events of default), 만기 전에 자금 회수
- 공실률 확대로 대출 원리금 갚지 못할 때 발생
- 자산가치가 담보인정비율(LTV) 80% 밑돌 때
- 중후순위 금융사 고객, 투자금액 거의 못 받아
Q. 세 달 전으로 기억되는데요. EOD가 계속 문제가 될 것이라는 것은 세계 최대 부동산 펀드조차도 고객의 환불 요구에 내 줄 돈이 없다는 시각에 진단해 드린 적이 있지 않습니까?
- SREIT, 스타우드 캐피털 그룹 부동산 펀드
- 그룹 전체로 상업용 투자손실…1300조 원 달해
- 작년부터 펀드런 시달려 EOD 제한조치로 버텨
- SREIT, EOD 제한조치 안했다면 벌써 마진콜
- 투자자 월별 자산 회수 2%로 제한…현금 고갈
- SREIT, “조만간 금리 내리니 기다려달라” 요청
- 상황 더 악화, 언제 파산? 제2 리먼 사태 재발?
Q. 한국의 증권사들이 투자한 해외부동산 투자도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韓 상업용 부동산 투자, 이미 3년 전부터 손실
- 브라질·홍콩·프랑스·미국 투자분 손실 발생
- 중후순위로 투자 원금 손실 커…평균 50% 넘어
- 대손 충당 적립 주가 하락, 주식투자자에 전가
- 올해부터 만기 집중 앞두고 ”조금만 기다려 달라“
- 해외 부동산 투자자, ”뭔 소리요?“ 민원 급증
- 안이한 대응, 만기 집중되면서 손실 폭 더 커져
- 증권사와 정책당국 쉬쉬하는 이 문제, 짚고 가야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