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국방장관에 백악관 비서실장까지 일제히 북핵 위협 거론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다시 고개를 드는 가운데 물러나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각료들이 일제히 트럼프 당선인에게 북핵 위협은 우선순위라며 정권 초기부터 철저히 대응할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존 케리 국무장관,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은 물론이고 데니스 맥도너 백악관 비서실장까지 공개적으로 북핵 문제 해결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역설했다.
케리 장관은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내각과 직원들에게 보낸 '고별 메모'를 통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은 오늘날 미국이 직면한 '가장 중대한'(the gravest) 위협에 속해 있다.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10일 미 해군사관학교 연설 후 질의응답 과정에서도 북핵 위협을 거듭 지적하면서 트럼프 정부가 대북제재에 한층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케리 장관은 "만약 그(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가 말한 대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진전시킨다면 미국은 그가 자신의 선택에 따른 영향을 받게 하는 다른 방식, 즉 더욱 강경한 방식을 찾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차기 행정부에 대북압박을 늘리는 외교적 방법이 있음을 분명히 말하고 싶다"면서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지금보다) 두 배로 더 집중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북한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국을 '지렛대'로 잘 활용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이다.
카터 장관 역시 지난 5일 고별 메모를 통해 "북핵이 역내 안정과 번영에 심각한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미국은 태평양 국가이며 아·태 지역의 미래는 우리 자신의 미래와도 긴밀히 얽혀있다. 차기 행정부는 추가적인 방위 태세의 기회를 추구하고 역내 국가들과 더욱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지금의 동맹과 파트너십을 보호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북한의 ICBM 위협과 관련해 지난 8일 N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를 위협한다면, 또 우리 동맹이나 우방국 중 하나를 위협한다면 격추할 것"이라는 강경한 발언을 쏟아냈으나 이날 임기 마지막 기자회견에서는 "북한의 미사일이 위협적이면 요격하겠지만 (실질적) 위협이 되지 않는다면 우리가 반드시 요격할 필요는 없다"며 한 발짝 물러섰다.
맥도너 비서실장도 전날 공영방송 PBS와의 인터뷰에서 "북핵은 바로 우리나라의 문제"라면서 "(트럼프 당선인에게 정권 인수인계 작업을 시작한) 처음부터 북핵이 최우선순위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북핵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로, 중국도 이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면서 "북한으로부터 위협받지 않는 것은 우리의 핵심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과 그의 핵심 참모들도 북핵 문제를 실질적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우선순위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ICBM 시험발사가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고 주장하자 다음 날 트위터에서 "북한이 미국 일부 지역에 닿을 수 있는 핵무기 개발의 최종 단계에 이르렀다는 주장을 했다.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저지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으로,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등 그의 핵심 참모들도 북핵 불용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플린 내정자는 전날 미국을 방문 중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만나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중대하고도 시급한 안보 현안이다. 북한 핵을 결코 용인할 수 없으며, 이런 전제하에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의 셈법을 바꿔 비핵화의 길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긴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si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