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 효과성·사회적 성취 분석 위한 첫 종단연구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대규모 장기 추적조사가 처음 시작된다.
교육부는 올해 한국교육개발원에 의뢰해 영재교육의 효과성과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사회 공헌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한국 영재교육 종단연구'를 한다고 18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은 2002년 3월 영재교육진흥법이 도입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영재'의 정의가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법률에 명시됐고, 이에 따라 고교 과정의 영재학교와 초중고 영재학급, 시도교육청과 대학 등 영재교육원이 잇따라 설치됐다.
영재교육 대상자 수도 영재교육이 본격 시행되기 직전인 2002년 약 1만명(전체 초중고생의 1%)에서 2015년 10만 9천900여명(전체 초중고생의 1.81%)으로 10배 늘었다.
교육부는 이처럼 영재교육이 양적으로는 크게 확대됐지만 효과성을 검증하는 작업은 부족했다고 보고 연구를 추진키로 했다.
특히 영재 선발을 위한 과도한 사교육 문제라든가 영재학교, 과학고 학생들이 의대로 진학하는 현상 등에 대한 지적도 계속 나오는 상황이다.
교육부는 이런 문제점 등을 포함한 체계적 효과성 검증을 위해 지난해 연구 내용, 방법 등을 설계하는 기초연구를 했고, 이를 바탕으로 올해 본격적인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
조사 대상은 올해 영재학교에 입학하게 될 신입생 약 800명이다. 영재학교는 현재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대전과학고, 대구과학고, 광주과학고, 한국과학영재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등 8곳이 지정돼 있다.
학부모 동의를 거쳐 이들 학생이 40대 안팎의 나이가 될 2041년까지 총 25년간(기초연구를 한 2016년 포함) 추적조사를 한다.
영재교육의 영재성 발현 및 계발의 패턴, 영재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진학·취학 등 사회적 성취도, 직업·가정·삶의 만족도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영재교육이 시작된 지 14년이 지나면서 이제 그 효과성과 사회적 공헌도 등을 장기적, 체계적으로 분석해야 할 시점"이라며 "학부모 동의 여부에 따라 조사 대상 학생 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y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