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보호무역 악재 잘 헤쳐…트럼프 출범은 '양날의 검'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글로벌 공급과잉,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출 악화, 수요산업 부진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우리나라 철강업계는 모처럼 웃었다.
시장 환경은 좋지 않았지만 발빠른 자구노력을 기울인 덕분에 이윤은 많이 내면서 빚은 덜 지는 '남는 장사'를 했기 때문이다.
철강업계는 우리나라 수출이 회복세를 탄 만큼 지난해에도 어느 정도의 호조세는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공급과잉이 단기 내 해결되기 어려운 데다가 주요 시장에서 무역장벽을 높이 쌓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 지난해 철강 '빅2' 성적표 합격점
국내 철강 '빅2'인 포스코[005490]와 현대제철[004020]은 25일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일제히 2015년보다 개선된 성적표를 내놓았다.
포스코는 해외 부문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지난해 2조8천443억원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을 냈다. 전년보다 18.0% 늘어난 액수다.
당기순이익도 1조482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포스코는 2015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96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매출액은 전년보다 8.8% 감소한 53조835억원에 머물렀지만, 국내외 시황이 워낙 안 좋았고 그룹 구조조정으로 법인 수가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큰 폭의 하락세는 아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보다 3.5% 오른 16조6천91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차입금 감축에 따른 이자 비용의 감소로 당기순이익도 12.8% 증가한 8천34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도 원재료가 인상분이 철강 가격에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탓에 1조4천450억원으로 1.3% 감소했다.
양사의 재무건전성 역시 모두 개선됐다.
포스코는 2014년부터 3년간 순차입금을 7조1천억원 줄임으로써 2013년 84.3%에 달했던 부채비율을 74.0%로 낮췄다
2013년 제3고로 완공 이후 대규모 투자를 완료한 현대제철은 이후 3년간 약 2조원에 달하는 차입금을 상환하면서 2013년 말 120%에 달하던 부채비율을 지난해 89.9%로 내려갔다.
수요산업인 조선이나 자동차 산업이 부진했음에도 철강업계가 웃을 수 있었던 것은 앞장서서 높은 체질 개선을 이뤄왔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2014년 이후 계열사와 자산 126건에 대한 구조조정을 완료해 5조8천억원의 누적 재무개선 효과를 거뒀다.
또 지난해 철강시장은 최종 철강제품 가격 대비 원료비 차이가 1조2천억원 가량 축소될 만큼 사정이 안 좋았지만, 수익성 개선과 비용 절감으로 1조4천억원의 내부 수익을 창출했다.
자사 고부가가치 제품인 '월드 프리미엄'(WP) 제품 판매량은 전년보다 326만3천t 늘어난 1천597만3천t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초고장력 강판과 내진용 형강 등 고부가 제품의 판매 비중을 높이는 한편, 당진 제2 냉연공장을 조기 가동해 늘어나는 초고장력 강판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점을 경영개선의 요인을 꼽았다.
◇ 올해는 트럼프식 경제정책 '변수'
올해를 바라보는 철강업계의 시각은 다소 엇갈린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출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철강업계의 실적도 상승세를 지속하겠다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변화하는 통상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예단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은 한국산 철강에 대한 공격의 날을 세워왔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1월 한국산 후판(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 제품에 6.82%의 덤핑마진 예비판정을 내렸다.
이에 앞서 같은 해 10월에는 한국산 철강제품용 합금인 페로바나듐 관련 반덤핑 제소에서 최고 55%의 덤핑마진 예비판정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보다 보호무역 성향이 훨씬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의 무역장벽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공식 선언한 점도 부담이다.
특히 포스코 등 멕시코에 법인이 있는 경우 되레 미국으로의 진출이 막힐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산 제품에 대해 최대 35%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새 정부가 현지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우리 철강업계에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자국산 사용을 우선하고 있긴 하지만, 전체적인 철강 수요 증가는 결국 우리 제품의 수출길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향후 미국의 정책이 구체화하는 것을 보면서 경영전략을 짜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