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체감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여성·청년·고령층 체감고통 커
체감물가상승률 9.0%, 체감실업률 11.4%…정세균 국회의장실 갤럽에 의뢰해 조사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과 견줘 1.0% 상승했지만 체감 물가 상승률은 공식지표의 9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식 실업률도 4%를 밑돌았지만 체감 실업률은 11%가 넘었다.
이에 따라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경제고통지수는 공식지표보다 12배 큰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18∼19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30명에게 전화면접 조사한 결과 지난해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23.7p로, 정부 공식지표에 따른 고통지수(2.0p)의 11.9배에 달했다.
경제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에서 국민소득 증가율을 제한 것이다.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공식 경제고통지수보다 큰 것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체감 지표가 공식지표보다 크고 체감 경제성장률은 공식지표보다 작아서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물가상승률이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로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체감 물가상승률은 9.0%로 공식지표보다 8.0%포인트 높았다.
식료품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항목 위주로 물가가 뛴 점이 체감 물가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업률(3.7%)보다 7.7%포인트 높은 11.4%로 나타났다.
일할 의사가 있고 일자리가 주어지면 당장 일할 수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거나 오랜 구직활동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취업 자체를 포기한 '니트족' 등이 공식 실업자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에 나온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 지표 중 체감 실업률로 간주되는 고용보조지표 3(10.7%)보다도 0.7%포인트 더 높았다.
경제성장률도 체감과 공식지표가 괴리돼 있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1년 전보다 2.7% 늘었지만, 설문 결과 국민은 경제성장률을 -3.3%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감 지표로만 보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이고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태인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여성, 20대 청년과 고령층의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29.7p로 남성(19.2p)보다 10p 이상 높았다.
특히 여성의 체감 실업률(7.4%포인트), 체감 물가상승률(2.7%포인트)이 남성보다 두드러지게 높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장바구니 물가에 더 민감하고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이 더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38.7p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19∼29세 청년층(26.7p)이었다.
체감 경제성장률·물가 상승률 격차는 작았지만 체감 실업률이 고령층과 청년층에서 유달리 컸기 때문이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의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41.0p로 가장 높았고 직업상태별로는 비정규직 근로자(18.9p)가 경제 어려움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 경제고통이 크면 국민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정 의장실 관계자는 "청년층, 고령층의 체감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며 "체감 물가 안정을 위해선 정부비축분을 통해 식료품 가격을 안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유통구조를 효율화해 농산물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중산층 서민의 주거비, 의료비, 교육비, 통신비 등 고정지출 부담을 줄이고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낮춰 가처분 소득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