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에 치이는 여성, 결혼·출산에 부정적 인식 증가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젊은이들이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늘어나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전통적인 의미의 가족에 두는 가치도 퇴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중시하는 가치는 '가족 중심'에서 '나'로 옮겨져 왔고, 이런 변화는 젊은층과 여성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지원을 받아 수행한 '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가족태도 국제비교연구' 보고서는 이런 가치관의 변화를 뚜렷이 드러낸다. 이 연구는 2006년과 2016년 전국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비교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버지의 권위는 어떤 경우에도 존중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전적으로'·'상당히'·'약간' 포함)한다는 응답은 2006년 84.3%에서 2016년 78.1%로 6.2% 포인트 떨어졌다.
'자식은 부모에게 명예가 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거나 '가계 계승을 위한 아들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찬성 응답도 각각 74.7%에서 63.7%, 56.7%에서 40.8%로 더욱 크게 떨어졌다.
'자기 자신보다 가족의 안녕과 이해를 우선해야 한다'는데 찬성한다는 응답도 79.9%에서 10%포인트 정도 하락해 69.7%에 머물렀다.
'남편이 부인보다 나이가 많아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43.4%에서 35%로 떨어진 반면, '결혼하더라도 아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데 동의하는 비율은 남성이 8.1%에서 17.2%로, 여성이 12.4%에서 24.4%로 훌쩍 뛰었다.
'결혼한 남자가 더 행복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사람은 53.3%에서 51.2%로 약간 떨어진 데 비해, '결혼한 여자가 더 행복하다'는 의견에 대해 동의하는 사람은 57.1%에서 46.4%로 10%포인트 이상 뚝 떨어졌다.
'결혼할 의사가 없이 함께 사는 것도 괜찮다'는 의견에 대한 반대 의견은 65.1%에서 54.5%로 떨어졌으며, 긍정적인 인식은 2006년에는 20대(35.3%)가, 2016년에는 30대(48.8%)가 주를 이뤘다.
이는 결혼을 고려하는 나이에 동거생활의 경험을 반영하는 결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10년 전과 직접 비교 자료는 없지만, 결혼 적정 연령은 남녀 모두 30세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결혼 적령기'에 대한 인식도 확연히 달라졌음을 보여줬다.
남자의 결혼 적정 연령은 30세가 34%(남)-35.7%(여), 32세가 14.1%-18.5%로 가장 많았고, 30∼35세를 묶으면 남성 80.2%, 여성 86.8%로 압도적이었다.
여자의 결혼 적정 연령에 대해서도 30세가 27.9%-31.5%로 가장 많았고, 30∼35세로 응답한 비율이 38%-49.4%였다.
이는 현재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25∼29세 혼인율이 크게 줄고 있다는 지난해 통계청 조사와도 일치하는 응답이다. 실제 1990년 26세였던 평균 초혼 연령은 2015년 31.3세로 크게 높아졌다.
보고서는 "미혼율이 높아지고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은 쇠퇴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통적 가치관에 기초한 현재의 가족 정책들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mi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