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경제사정이 어려워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고 싶어도 못 내는 납부예외자가 지난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당장 살림살이가 힘들더라도 고령화로 갈수록 길어지는 노년을 대비해 공적 노후보장장치인 국민연금만은 끊지 말자는 인식이 확산하기 때문으로 국민연금공단은 풀이했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2016년 12월 납부예외자는 417만3천269명으로, 전년도(2015년 12월 451만1천565명)에 견줘 33만8천296명 줄었다. 1999년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을 확대 시행한 이후 감소폭이 가장 크다.
그러나 납부예외자는 2016년 12월 현재 전체 가입자(2천182만8천915명)의 19.1%에 달해 노후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이는 특히 지역가입자(811만2천783명)의 과반(51.4%)에 이르는 규모다.
연금 관련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경제적 여력 부족으로 보험료를 내지 못하는 사람들의 보험료를 지원하는 등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라면, 소득이 없더라도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지만 보험료를 내기 어려울 때는 납부 예외를 신청해 소득이 없는 기간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한마디로 납부 예외는 실직, 휴직, 재학, 명예퇴직, 군복무, 이직 준비, 폐업 등으로 직장을 그만두거나 사업을 접으면서 소득이 없거나 줄어들 때 그간 내던 보험료를 당분간 내지 않아도 되는 장치다. 국민연금 가입자격은 유지하면서 보험료 납부의무는 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현재 납부예외자는 대부분 영세자영업자나 비정규직·일용직·특수고용 근로자들로 생활형편이 어려워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납부예외자는 1999년 4월 558만4천144명에 달했으나, 2011년 12월 489만9천557명, 2012년 12월 466만5천179명, 2013년 12월 457만5천441명, 2014년 12월 457만1천14명, 2015년 12월 451만1천565명 등으로 해마다 조금씩 줄어들었다.
납부 예외를 신청하면 한 번에 최장 3년까지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되고 납부 예외 상태를 연장할 수도 있지만, 납부 예외기간은 보험료를 내지 않는 대신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도 들어가지 않기에 나중에 받게 될 연금액은 줄어 손해를 보게 된다.
sh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