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우리나라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연계 정도가 세계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복합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지만, 현실은 오히려 두 산업 간 분리가 확대되면서 연계성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산업연구원은 5일 내놓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 간 연계성 강화 필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이 서비스 생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제조업의 서비스 생산유발계수는 세계 최하위 수준인 0.23에 그쳤다고 밝혔다.
프랑스(0.52), 미국(0.41), 독일(0.40), 일본(0.40)은 물론 중국(0.29)이나 멕시코(0.25)보다도 낮은 수치다.
이 지수는 제조업 제품의 생산·수출에 대한 서비스업의 기여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지수가 낮다는 것은 제조업 생산·수출 과정에서 서비스업 중간재 투입이 적고, 그 결과 수출에서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율 또한 낮다는 의미다.
두 산업 간 분리 현상은 2005년에 비해 2014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정 분야가 다른 산업의 생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외향중앙성을 부문별로 순위를 매겨보니 제조업 혁신에 큰 역할을 하는 정보통신미디어제품이나 전자표시장치는 2005년 각 5위와 14위에서 2015년 20위와 18위로 하락했다.
반면에 1차 금속제품, 자동차 등 전통 제조업은 여전히 상위권을 차지했다.
연구원은 "산업고도화의 주요 경로 중 하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복합을 통한 신사업, 신산업 창출인데 실상은 국내 제조업과 지식집약사업서비스 간 연계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업의 서비스화에 요구되는 가치사슬 생태계를 분석하는 한편, 제조업의 중간재로서 서비스 투입을 높여 새로운 시장과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