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 일본이 본격적인 임금상승기를 맞았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인구감소시대 장기화로 2013년 이래 일손부족을 메워주던 여성과 고령 노동자원마저 바닥나는 상황을 맞았다는 분석에서다. 최근 수년간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임금은 '찔끔 상승'에 그친데 따른 임금인상 비관론이 바뀔만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6일 보도했다.
이런 관측의 핵심 배경으로는 일본의 인구사회적 구조 변화가 꼽힌다. 일본은 20여년 전부터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10년 전부터는 전체인구도 각각 줄어드는 인구감소 사회로 본격 진입했다.
그러면서 일손이 모자라자 일본기업들은 여성과 고령자를 아르바이트나 시간제근무 등 비정규직으로 적극 고용했다.
실제로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2016년 3분기까지 4년간 15~64세 남성 취업자는 18만명 줄어든 반면에 같은 연령대의 여성 취업자는 99만명이나 늘었다. 65세 이상 취업자는 147만명 급증했다.
그런데 늘어난 일자리가 파트타임에 치중되고 정규직 모집 경쟁은 높은 상황이 계속된 영향으로 명목임금이 오르기 어려웠다. 정사원들도 안정고용을 우선해 임금인상 요구를 억제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경기가 다소 살아날 기미를 보이며 일손이 부족해져도 임금은 오르지 않았다.
그런데 이마저도 임계상황에 달하며 향후에는 여성이나 고령자 부족이 임금상승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취업 예비군'마저 더이상 잉여가 없다는 것이다.
우선 여성을 보자. 자신이나 가계가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고 '적당한 일이 없어서' 일자리를 찾지 않은 현역세대 여성은 최근 64만명으로 추산됐다. 2013년 1분기보다 30% 줄었다.
고령자도 베이비붐 세대로 800여만명이나 되는 단카이세대(1947~49년생)가 70대에 들어섰다. 60대 후반의 노동참가율은 44%이지만 70대이상은 26%다. 세대별 참가율이 이대로면 단카이세대의 일손도 5년 뒤엔 100만명 감소한다.
외국인 인력 유입이 극히 제한된 일본 노동시장에서 이처럼 예비노동력마저 고갈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자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의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구인정보기업 리쿠르트잡스에 의하면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3대도시권의 모집 시 평균시급은 작년 11월 처음으로 1천엔을 넘었다. 12월까지 4개월 연속 2006년 조사 개시 이래 최고액을 경신했다.
여성의 노동력 부족은 더 뚜렷하다. 주부전문 구인사이트를 운영하는 비-스타일(B-Style)에 따르면 사이트에 게재하는 사무직파견 파트타임 시급은 1천500엔(약 1만5천170원)까지 급등했다.
인재난이 파트타임의 정규직 사원화로 이어지면 임금상승 압력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실제 식품슈퍼 라이프코퍼레이션은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근무지역을 한정한 정규직사원제도를 도입했다. 명란젓 제조업체 후쿠야(규슈 후쿠오카시)도 2016년 6월 처음으로 계약사원이나 파트타임 근무자 70명을 정사원으로 채용했다.
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임금인상이란 당근을 내세워 구직자들을 유혹하는 상황인 것이다.
풀타임으로 근무하는 일본의 취업자 수가 2016년 전년 대비 2% 늘었다. 마키노 준이치 SMBC일흥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일손확보 다툼이 심화돼 2~3년 안에 임금상승률이 2%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춘투(春鬪·임금교섭)에서 일본 최대 경제단체 게이단렌은 작년보다도 임금인상에 신중한 자세를 보여주고 있지만, 지금까지 소극적이었던 중소기업은 바닥을 찍고 올리려는 분위기다.
아베 신조 총리 정권도 '일하는 방식 개혁'에서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축소를 내걸고 있다. 이것이 구조적으로 일손이 부족한 상황과 맞물리며 임금상승이 확산되면 소비확대도 기대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tae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