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진단…"매년 반복 안되려면 상시 방역시스템 구축해야"
"사전 바이러스 검사·맞춤형 백신 개발 등 선제 대응도 필요"
(전국종합=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 근본적인 해결보다는 살처분으로 때려잡기만 하고 지나갑니다. 불 끄기에 급급한 악순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기본적인 방역시스템부터 갖춰야 합니다."
간헐적으로 발생하던 구제역과 AI가 2014년 이후 매년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상시방역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보다는 우왕좌왕하며 땜질식 처방만 한다면 반복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상시방역체제 구축은 물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이러스 단계에서부터 선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고 차단 방역을 위한 기본 시스템을 갖출 것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예찰과 외국 발생정보 수집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형 맞춤형 백신 개발과 발생농가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 필요성도 강조됐다.
서상희 충남대 수의학과 교수는 "결론적으로 말하면 국내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런데 농가에서 바이러스 검사도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2010∼2011년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처음엔 안동의 농장주가 베트남을 다녀와 발병했다며 농가에 덮어씌웠다가 2010년 봄에 발병한 것이 재발했다고 하는 등 역학조사조차 투명하지 않다"며 "발병하면 조사에 나설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 조사부터 선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과대학 교수도 농가에서 임상증상이 나타나 의심신고가 접수된 뒤에야 방역에 나서는 현행 방역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번 AI의 경우 11월 16일 충북 보은에서 처음 발병했는데 발병농가의 검체에 항체가 형성된 점에 미뤄 한 달 전에 바이러스가 퍼진 것으로 봐야 한다"며 "한 달간 AI 바이러스에 무방비 상태였는데 정부가 인지하지 못한 것"이라고 AI 확산원인을 분석했다.
유한성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전반적으로 할 건 하고 있지만 제대로 했는지가 의문"이라면서 "어떤 질병이든 상시방역을 해야 하는데 예찰과 외국 발생 정보 등을 소홀히 한 탓에 질병 확산을 막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차단방역의 기본시스템부터 갖춰야 한다는 점을 역설했다.
강 교수는 "지정학적으로 중국과 동남아 등 주변에 구제역 등 가축 질병 발생국가가 많고 국외 여행자,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가정 증가 등 국외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될 환경에 쉽게 노출돼 있다"며 "국내에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농가의 가축과 접촉하지 않으면 되는데 차량과 사람을 통제할 수 있는 차단방역시설이 안 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번 사태에서 보듯이 구제역은 항체 형성률이 높은 줄 알았는데 아주 낮았다"며 "백신의 효과를 따지기 이전에 백신 접종을 제대로 했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한국형 맞춤형 백신 개발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서상희 교수는 "바이러스는 급격히 변형하는데 마치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지만 바이러스가 토착화한 것"이라며 "수입 백신은 부작용이 커 농가에서 백신접종을 기피한다. 백신을 국산화하면 부작용이 적고 효과는 높아져 서둘러 맞춤형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러스가 중국이나 동남아 등 국외에서 일시적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라 과거 발생한 바이러스가 남아있다 재발했다는 의미로, 이에 맞는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정규식 경북대 수의과대학장은 이에 더해 "백신을 현장에 적용할 때 표준화의 문제가 없는지 명확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발생농가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 필요성도 제기됐다.
송창선 교수는 "3번 이상 발병한 농가에 대해서는 삼진아웃제 도입이 필요하고 기존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휴업보상제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며 "AI의 경우 발생농장에 한해서만이라도 백신을 접종, 샘플링 감시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가축방역의 인력 부족, 예산 부족 등 악순환도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역 인력을 보면 명령을 내리는 사람만 늘고 소독이나 백신접종을 할 수 있는 인력은 없다"며 "이 때문에 소독이나 백신 접종이 제대로 될 리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AI 살처분 보상비가 3천억원에 달한다"며 "그러나 AI·구제역이 끝나면 가축방역에 10억도 마음대로 못 쓰는 것이 우리의 방역시스템"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wyshi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