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집중 관리, TF 꾸려 24시간 비상근무
(전국종합=연합뉴스) 지난달 28일 오전 대전 시내 한 아파트 단지 주차장.
토목·건축·공업 등 여러 분야 기술직 공무원들로 꾸려진 태스크포스(TF)가 성인 키를 훌쩍 넘는 높이의 옹벽을 꼼꼼히 살피고 있었다.
이 담은 아파트와 인근 연구소의 경계를 구분하려고 20여 년 전 쌓은 것인데 세월이 흐르면서 이제는 주민의 근심거리가 됐다.
한 아파트 주민은 "옛날에는 튼튼하게 잘 쌓았을지 몰라도 해마다 해빙기나 집중호우 시기가 되면 무너지지 않을까 불안하다"고 말했다.
해빙기 안전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재산피해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지방자치단체들이 해빙기 취약지역 안전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대전의 경우 이 아파트 단지처럼 지자체가 집중 관리하는 시설이 사면 19곳, 건설현장 13곳, 옹벽 10곳, 노후주택 3곳 등 50여 곳에 달한다.
시와 자치구는 주말에도 기관별로 2명 이상 비상근무한다.
위험도가 높은 시설은 응급조처와 정밀진단을 하고 매주 한 차례 이상 정기점검도 한다.
김우연 대전시 시민안전실장은 "공공청사나 지하철, 시내버스 등의 안내 모니터를 활용해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민홍보도 하고 있다"며 "주변에서 위험요인을 발견하면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추위가 이어지는 겨울철에는 지표면 사이 수분이 얼면서 토양이 평균 9.8%가량 부풀어 오른다.
하지만 얼어붙었던 땅이 녹으면 수분이 빠져나가고 그만큼 땅속에 공간이 생길 수 있다.
토압·수압 증가와 지반침하·변형 등으로 각종 시설물이 붕괴하거나 쓰러질 가능성이 커진다.
경기도의 경우 '기동안전점검단'을 구성해 일선 시·군의 전담관리팀과 공조하고 있다.
경기도에만 산사태 발생이 우려되는 취약지구가 2천99곳에 달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택지개발이나 공공주택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지반침하나 균열 발생 여부 등을 살피고 자전거길 3천500여 곳도 낙석 위험이나 노면 파손 여부 등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해빙기 전담관리팀을 편성해 급경사지와 사면절개지 등 시내 93곳을 이달 말까지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제주도의 경우 평일에는 안전총괄과 전 직원이 비상근무를 하고, 휴일에도 주·야간 근무자를 편성해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제주 시내 해빙기 집중관리대상은 노후주택 6곳, 옹벽 3곳, 급경사지 25곳 등 총 34곳이다. 서귀포 시내에도 급경사지 16곳이 있다.
정부도 지난달 6일 시작된 국가안전대진단과 연계해 해빙기 안전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들도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지반이 얼었다가 녹았다 하는 과정에서 낙석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진다"며 "시·군 자체 점검과 별도로 광역단체 차원에서도 위험도가 높은 100곳가량을 표본으로 선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광호 김상현 지성호 변우열 임보연 이재림 이승형 손상원 김호천 한종구 홍인철 신민재 기자)
s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