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800만t에서 2016년 89만t으로 저장량 급감
(태백·삼척=연합뉴스) 배연호 기자 = 정부 비축무연탄 바닥이 보인다.
전국 비축장 저장량이 13년 만에 10% 수준으로 떨어졌다.
정부 비축무연탄은 공급 부족 등 비상사태 대비용이다.
정부가 무연탄 비축을 시작한 때는 1975년이다.
'석탄수급조정에 관한 임시조치법'이라는 법률까지 제정할 정도로 무연탄 비축은 정부 현안이었다.
본격적인 비축은 1980년부터다.
정부는 강원 정선 석항, 전북 김제 와룡, 인천 서구, 강원 태백, 전남 화순 등 5곳에 비축장도 조성했다.
정부 비축무연탄 재고량은 198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소비 감소 영향이다.
2003년에는 806만1천t으로 800만t을 돌파했다.
당시 연간 소비량보다 2배가 넘는 양이다.
소비가 줄자 정부는 2004년부터 추가 비축을 중단했다.
이때부터 정부 비축무연탄 재고량은 2005년 694만3천t, 2007년 344만5천t, 2009년 159만6천t 등으로 급감했다.
현재는 89만9천t만 남았다.
13년 만에 10분의 1이다.
남은 정부 비축무연탄은 2015년 기준 연간 소비량의 52% 수준이다.
강원지역의 탄광 관계자는 13일 "국내 유일 에너지 무연탄은 노동과 재원을 투입한다고 해도 금방 생산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라며 "현재 비축무연탄 재고량은 소비 감소를 고려해도 비상 대비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국내 무연탄은 서민 연료 연탄제조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부 비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by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