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트럼프 대통령, 중국·북한 향해 최후통첩성 경고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연일 발언의 수위를 높이며 강공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간 티격태격하는 행보를 보인 양국 관계의 지형이 정상회담을 계기로 크게 바뀔 수 있어 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양국 정상은 6∼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에서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한다.
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기선잡기에 열을 올리는 모양새가 펼쳐지고 있다.
미국은 일단 회담의 핵심 의제로 거론되는 북한 문제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미국 백악관은 4일 핵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는 북한을 향해 "이제 시간이 소진됐다"(The clock has now run out)며 최후통첩성 경고를 보냈다.
백악관 고위 당국자는 이날 미·중 정상회담 사전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기를 원했고, (미국) 정부는 4대에 걸쳐 최고의 외교관과 관료들이 해법을 찾는 지난한 대화 과정을 통해 그런 기회를 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북한을 직접 거론했지만 북한의 우방 중국을 겨냥한 메시지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도 그동안 북한 문제에서 중국이 나서야 한다는 사실을 누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을 압박하는 경고성 발언을 했다.
그는 "중국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할 것"이라며 시 주석을 압박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만남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경제면에서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만큼 중국이 움직여야 북핵 문제를 풀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미국 금융정보회사인 사야리 애널리틱스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 외화벌이의 40%가 600개의 중국 회사에서 나왔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국은 북핵 문제의 중국 책임론을 강조하면서 '세컨더리 보이콧(3자제재)' 카드로 중국을 압박한다.
무역 불균형 문제를 놓고도 미국이 목소리를 점점 높여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 최고경영자(CEO)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지난해 기준으로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가 5천40억 달러(약 565조8천억원)에 달한다며 미국이 엄청난 손해를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중국을 '성폭행범'으로 몰아붙이면서 통상무역의 불균형을 비난한 바 있다.
미 상무부가 '비시장경제'(NME) 국가인 중국의 무역 지위 재검토에 착수한 것도 일종의 '협상 카드'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이 통상 문제에서 미국의 요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 중국의 숙원인 '시장경제' 지위 부여를 위해 미국이 나설 수 있음을 강조한 조치로 해석된다.
정상회담 전부터 미국이 강공모드로 나선 것은 핵심 의제를 미국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북핵과 무역 불균형, 남중국해 문제 등을 놓고 중국과 입장 차이가 큰 만큼 미리 조금이라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포석인 셈이다.
이에 '미국 우선주의'를 기치로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중국 정상과의 만남을 앞두고도 십분 발휘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기술이 반영됐다는 분석도 있다.
우여곡절 끝에 양국 정상회담이 마련된 만큼 성공적인 결실을 봐야 하는 숙제가 양국에 던져졌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중 정상회담의 "성공은 보좌관들이 (양국 관계의) 돌파구 마련을 위한 기반을 만들어내는지에 전적으로 달려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요 문제들을 놓고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큰 상태라 서로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회담으로 끝날 가능성도 있다.
중국 정책을 놓고 미국 정부 내의 논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과의 정상회담이 너무 설익은 만남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고 WSJ는 전했다.
kong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