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일본 정부는 아키히토(明仁) 일왕이 퇴위한 뒤에는 마음이 변해도 다시 왕에 즉위하지 못하도록 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또 퇴위 후에는 왕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하는 섭정(攝政)도 인정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아키히토 일왕의 중도 퇴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부 전문가회의는 지금까지 12차례 회의를 열고 이런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7일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퇴위한 일왕(天皇·텐노)은 상왕(上皇·조코)으로, 왕비(皇后·고고)는 상왕비(上皇后·조코고)로 명칭을 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 아키히토 일왕 퇴위시 나루히토(德仁) 왕세자가 즉위하면서 왕위계승 1순위가 되는 아키시노노미야(秋篠宮) 왕자에 대해서는 왕세자라는 호칭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나루히토 왕세자 즉위와 함께 사용하게 될 신 연호(元號·왕위 취임 해를 기준으로 한 연도)를 학자들에게 이미 의뢰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퇴위 방안을 담은 특례법이 마련되면 학자들이 제출한 연호 가운데 가장 적합한 것을 선정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1989년 1월 7일 히로히토(裕仁) 일왕 사망 당시에는 현재 사용되는 연호인 헤이세이(平成)와 세이카(正化), 슈분(修文)이 함께 후보로 올라, 사망 당일 전문가회의 등을 거쳐 각의(국무회의)에서 헤이세이로 확정됐다.
choina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