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연합뉴스) 이효석 기자 = 세월호가 참사 1천91일 만에 인양됐다.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인양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빠졌던 세월호는 요동쳤던 여론의 '격랑(激浪)'을 넘어 11일 무사히 목포신항 철재부두에 거치됐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참사 196일째인 2014년 10월 28일까지 단원고 황지현 양 시신이 발견되자 희망을 놓지 못하고 수중 수색 연장을 원했다.
그러나 잠수사 2명이 사망하는 등 추가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비난 여론이 싹텄다.
결국 미수습자 가족들이 참사 210일째인 11월 11일 "사랑하는 가족을 잃는 분이 더 생겨서는 안 된다"며 수색 중단을 요청했다.
미수습자 가족들이 이렇게 결정하자 이번에는 인양 자체를 반대하는 주장이 불거졌다.
일부 언론과 국회의원들은 "맹골수도처럼 물살이 세고 깊이가 44m에 달하는 여건에서 세월호(6천825t)급 여객선을 인양한 사례가 해외에도 없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일각에서는 "선장·승무원과 청해진해운 회장 일가 등 참사 주범에 대한 1심 판결도 내려졌으니 '일상'으로 돌아가자"는 여론이 형성됐다.
침몰 지점에 해상추모공원을 건립하는 것으로 인양을 대신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참사 희생자·미수습자 가족들은 "미수습자를 수색하고 진상 규명을 해야 한다"며 선체 인양을 포기하지 않았다.
유가족들은 2014년 말∼2015년 초 거듭 기자회견을 열어 인양 결정을 촉구했고, 참사 300일(2015년 2월 9일)을 기점으로는 온몸을 던지는 시위도 불사했다.
2월 23일 단원고 고(故) 이승현 군 부친 이호진 씨가 딸 아름 씨와 함께 진도 팽목항에서 서울 광화문까지 삼보일배를 시작했고, 3일 뒤에는 미수습자인 단원고 허다윤양과 조은화양 부모들이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했다.
해수부는 2015년 1월 인양 여부를 검토하겠다며 현장조사에 착수했으나 당초 결론을 내겠다고 약속한 3월이 지나도록 조사 결과를 발표하지 않았다.
4월 1일에는 돌연 '참사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 지급 기준'을 내놓았다.
구체적인 액수까지 발표한 탓에 여론이 들끓었다. 참사 유족들은 "여론을 분열시키려는 것이냐"며 이튿날 단체 삭발을 했다.
해수부는 4월 8일 '세월호 참사 비용이 총 5천548억원에 달하고, 선체 인양 비용은 1천205억원에 달한다'고 발표해 인양 비용에 대한 논란을 촉발했다.
유기준 당시 해수부 장관은 "인양 여부를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세월호 인양은 서울광장에서 참사 1주기 집회가 대규모로 열린 후인 4월 22일에야 비로소 확정됐다.
인양 과정에서도 잡음이 일었다. 인양업체로 중국 국영기업 상하이샐비지가 선정되면서, 중국인 잠수사들이 맹골수도 조류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려 수중조사 및 바지선 고정이 정부 예상보다 한 달 이상 지연됐다.
이후 기상악화와 동절기가 잇따르면서, 2016년 가을께 완료된다던 세월호 인양은 결국 참사 3주기를 앞두고서야 이뤄지기에 이르렀다.
참사 1천72일째인 지난달 22일 세월호 인양 작업이 전격 실시됐고, 20일 만인 이날 선체 육상거치가 완료됐다.
hy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