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과소화, 전국 공통 현상…전북이 가장 심각 '전국의 40%'
고용정보원 "30년 내 전북 14개 시·군 중 10개 소멸 가능성 커"
[※ 편집자 주 = '과소화 마을'(20가구 미만인 마을)이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상당수 농어촌 시골 마을은 머지않아 사라질 것이란 지적도 있습니다. 젊은 세대 유출로 태어나는 아이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마을을 지키는 고령 세대마저 세상을 뜨면 마을은 아무도 살지 않는 폐허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가다가는 지방자치단체 존폐를 걱정해야 할 상황으로까지 내몰릴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는 과소화 현상이 가장 심각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시골 마을의 과소화 원인과 실태, 심각성, 마을을 살리기 위한 대안과 과제를 3편에 걸쳐 송고합니다.]
(전주=연합뉴스) 임청 기자 =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 대궐 차린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고향 마을'하면 사람들은 흔히들 유년기 추억이 서린 시골 마을을 떠올린다.
하지만 머지않아 우리의 정겨운 시골 마을들이 줄줄이 사라질 판이다.
도시로의 이동, 이에 따른 저출산과 고령화의 늪에 빠진 우리의 고향, 시골 마을이 갈림길에 섰다.
2000년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7% 이상)에 들어선 우리나라는 올해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14%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께는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20% 이상)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젊은 사람들이 떠나 아이 울음소리나 뛰노는 소리를 듣기 힘든 시골 마을의 고령화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근근이 마을을 지키고 있는 노인들마저 세상을 등지면 결국 소멸할 것이란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많은 전문가는 과소화가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 약화를 넘어 존립 기반마저 위협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 2015년 전북 과소화 마을 515곳…전국 40%
전북은 이러한 과소화 마을 현상이 가장 심한 곳 중 하나다.
2015년 말 기준 전북 도내 과소화 마을은 515곳으로 전국의 40%를 차지했다. 전국 과소화 마을 10곳 가운데 4곳이 전북에 있는 셈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발표한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보고서'에서 전북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 군산, 익산시와 완주군을 제외한 10개 시·군이 30년 안에 사라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9세 가임여성 인구 비중'과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간 상대비가 0.5 이하이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하는데, 전북의 여러 지역을 포함해 전국 77개 자치단체가 여기에 포함됐다.
전북에서는 임실군이 0.25로 소멸 가능성이 가장 컸다. 진안, 장수, 고창, 순창 등 군지역이 뒤를 이었다.
결국, 추가적인 유입 인구가 없으면 이들 과소화 마을은 머지않아 통째로 사라질 운명에 처하게 된다.
◇ 젊은층 유출 지속, 촌로들 하나둘 자연사…공동화(空洞化) 심화
완주군 비봉면 소재지 대상마을.
한때 30여 가구에 달했던 대상마을에는 현재 11가구만이 거주하고 있다.
한우 50여 마리를 키우는 임동석(45)씨가 이 마을에서 가장 젊다.
10여 년이 넘도록 이 마을에 새로 들어온 이주민도 없는 데다 주민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앞으로 20여 년 후면 마을은 사실상 종적을 감출지도 모른다.
임씨는 "마을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끊긴 지 십수 년이 넘은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전북도 내 다른 과소화 마을의 사정도 이와 비슷한 실정이다.
젊은층이 도시로 빠져나간 뒤 되돌아오지 않는 데 반해 촌로들이 하나둘씩 자연사하면서 마을 공동화는 심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상마을과 같은 마을들이 유령도시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지적한다.
◇"과소화 마을 증가, 기초단체 존립 위협"…"마을별 재생·재편 시급"
더욱 심각한 것은 과소화 마을 증가가 상위 기관인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존립 기반을 뒤흔들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즉 과소화 마을 증가는 인구 감소를 의미하는데 인구가 줄면 각 시·군의 행정기구 축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각 읍면에 산재한 보건지소는 물론이고 체력 관련 시설, 복지시설 등이 흉물로 남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뭔가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lc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