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내달 초 발표
내년 시장선거 앞두고 '치적' 서두르다 졸속 추진 우려도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한국을 대표하는 초고층 건물로 기대를 모았던 인천 송도국제도시 '151층 인천타워' 건립이 무산된 뒤 이를 대체할 새 프로젝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천시 산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최근 송도 6·8공구 128만㎡를 개발할 사업시행사를 공모했다.
지난달 초 접수 마감 결과 각각 대상산업과 정일종합건설을 대표 제안사로 하는 2개의 컨소시엄이 사업제안서를 냈다.
인천경제청은 전문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이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를 최종 선정하고 다음 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송도 6·8공구 개발이 10년 넘게 지연되자 이번에 사업자가 다양한 아이템을 창의적으로 구상해 제안하는 방식의 공모에 나섰다.
사업자가 상업·체육·주상복합·단독주택·공동주택 용지의 면적 총량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개발계획을 자유롭게 세우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송도국제도시 개발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랜드마크 시설 등은 뒷전에 밀린 채 '돈 되는' 주거시설만 과도하게 늘어나 '속 빈 강정'이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종국 인천대 교수(도시행정학)는 18일 "인천시가 송도 6·8공구 앵커시설을 특정하게 제한하지 않은 것은 개발업자들이 스스로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라며 "사업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다 보면 공공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생긴다"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송도국제도시는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이미 주거용지가 과도하게 공급됐다"면서 "송도 전체가 조화롭게 개발되도록 인천시가 남은 부지에서 주거용지를 대폭 줄이는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제도시다운 앵커시설조차 없이 아파트·주상복합 공급만 속속 이뤄지고 있는 현실에 비춰 송도 6·8공구도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변병설 인하대 교수(도시계획학)는 "경제자유구역은 조성 목적에 맞게 지역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첨단산업기능 중심으로 유치하는 게 중요하다"며 "송도가 균형 있는 도시로 발전하도록 산업·주거·문화·의료·교육·환경 기능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사회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단체장 치적용'으로 송도 개발을 무리하게 서두를 경우 졸속 추진될 수 있다는 걱정도 한다.
여러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들이 서로 경합하는 과정에서 재선을 노리는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유·무형의 압력으로 작용해 우선협상대상자 최종 선정에 잡음이 일 가능성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유 시장의 최대 투자유치 업적이 될 수 있었던 검단스마트시티가 수포가 된 뒤 사업성과 실현 가능성이 낮은 선거용 개발 청사진이 잇따라 제시되고 있다"면서 "송도 개발 역시 현 시장이 뚜렷한 치적이 없는 상황에서 서둘러 사업을 추진하려 하는 게 아니냐는 걱정 어린 시각도 많다"고 했다.
경제청 일각에서는 송도 개발 과정에서 불거질 문제점들을 고려해 필지별로 용도를 지정해 개발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난개발'을 걱정하는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다.
'대한민국 1호' 경제자유구역인 송도국제도시에서 개발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마지막 구역인 송도 6·8공구는 앵커시설 유치가 10년째 제자리다.
인천경제청은 2007년 8월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SLC)와 개발협약을 맺고 송도 6·8공구 228만㎡에 대한 독점개발권을 부여해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151층 타워를 포함한 업무, 상업, 주거 등이 복합된 국제도시 개발을 추진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초고층 건물 신축 계획이 잇따라 취소되고 송도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이 치솟는 등 개발 여건이 급격히 나빠져 인천타워 건립은 끝내 무산됐다.
인천경제청은 해당 용지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월드상점센터를 벤치마킹한 '엑스포시티'를 조성하는 방안을 미국계 사업자와 협의했지만, 진전을 보지 못하고 끝내 불발됐다.
s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