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광주·전남 표심이 1년 만에 국민의당에서 민주당으로 바뀌었다.
지난 4·13 총선에서 국민의당에 표를 몰아줬던 지역민심이 이번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당선인에게 60%에 육박하는 높은 득표율을 선사하면서 1년 전과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줬다.
1년 전 양당체제로 치러진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광주에서 53.34%의 득표율로 광주 지역구 8석 전체를 차지했다.
전남에서는 47.73%로 전체 10석 중 8석을 가져갔다.
민주당은 광주에서 국민의당의 절반 수준인 28.59%에 그쳐 참패했고, 전남은 30.15%로 단 1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이번 대선에서 드러난 표심은 총선과는 완전히 달라졌다.
민주당 문재인 당선인은 10일 오전 0시 현재, 광주·전남에서 각각 58%의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안철수 후보는 32%와 33%를 얻는 데 그쳤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에서 총선 때 국민의당이 거뒀던 득표율을 훨씬 웃돌았으며, 민주당 자신의 총선 득표율도 2배 이상 뛰어넘었다.
반면 국민의당은 지난 총선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처럼 광주·전남 민심이 급속하게 바뀐 것은 무엇보다 대선이라는 선거의 특성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총선은 바람선거, 대선은 인물선거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1년 만에 민심이 이처럼 롤러코스터를 타듯이 요동친 것은 정치적 의미가 적지 않다는 시각이다.
지역민심이 총선을 통해 기존 정치권에 지역의 아쉬움을 토로했다면, 대선에서는 국정농단세력 철퇴와 촛불혁명을 통한 정권교체라는 또 다른 열망을 표출했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총선에서 광주·전남 표심이 국민의당을 선택한 것은 '안철수 대망론'(大望論)에 대한 기대감과 참여정부의 '호남 홀대론'에 기댄 반문 정서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었다.
문 당선인이 광주·전남에서 60% 가까운 높은 득표율을 보여줌으로써 반문 정서가 1년 전과 비교해 그만큼 엷어졌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반면 국민의당은 총선 이후 민주당을 대신할 수 있는 수권정당의 모습을 지역민에게 어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다.
총선 직후 당내 문제점이 돌출됐고 이후 사드 대응 혼란, 대선 토론회 실수 등이 이어지면서 당 지지율과 안철수 후보 지지율까지 크게 떨어진 점도 표심 변화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역 표심이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에 쏠렸지만 1년 후 지방선거에서도 이같은 표심이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앞으로 남은 1년 동안 정국의 향방, 새 정부의 국정운영 행태, 지역 정치권의 판도 변화 등에 따라 지역표심도 얼마든지 새롭게 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b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