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에게 묻다] 머릿속 악성림프종에 '자가조혈모세포' 효과

입력 2017-05-24 07:00  

[명의에게 묻다] 머릿속 악성림프종에 '자가조혈모세포' 효과

65세 미만이면서 전신상태 양호하면 5년 생존율 80%까지 향상

(서울=연합뉴스) 김진석 연세암병원 혈액암센터 교수 = 정모(57. 서울 구로구)씨는 3년 전인 2014년 갑작스러운 두통과 평소보다 심한 기억력 감퇴 증상이 생기자 집 근처 병원을 찾았다. 혹시 치매가 시작된 게 아닌가 하는 걱정에 병원을 찾았지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결과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종양이 머릿속에서 발견됐다.

이후 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고자 연세암병원을 찾은 정씨는 뇌 병변에 대한 조직 검사 끝에 그해 11월 최종적으로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진단을 받았다.

당시 정씨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 국제평가 기준(IELSG) 점수가 4점으로 고위험군에 속했다. 정씨에게는 진단 후 다음 해 1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항암 치료가 이뤄졌으며, 2015년 2월에는 환자 본인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해 질환 부위에 이식하는 '자가조혈모세포이식술'이 시행됐다.

조혈모세포를 이식한 지 2년여가 지난 정씨는 현재까지 재발이 없는 상태다. 다만, 경과는 계속해서 관찰 중이다.

정씨가 앓고 있는 질환은 전신의 림프절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의 하나인 악성림프종이다. 이런 악성림프종이 머릿속 뇌에 처음 발생하는 경우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으로 분류한다. 원발성이라는 말은 암세포가 처음으로 해당 부위에서 발생했다는 의미다.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은 전신 림프절에 발생하는 림프종과 비교해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실제로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0%가 채 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 국제평가 기준(IELSG) 점수가 2점 이상이거나 항암 치료를 했는데도 조기에 암세포가 사라지지 않는 고위험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0%를 넘지 못한다.

그런데 이런 환자에게도 희망의 불씨는 있다. 고용량의 항암제(메토트렉세이트) 치료 후 바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술을 하면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가 확인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정씨가 바로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

조혈모세포는 혈액 내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을 비롯한 각종 면역세포를 만든다고 해서 '어머니 세포'로 불린다. 골수나 말초혈, 제대혈 속에 주로 들어 있다. 이 수술의 핵심은 병든 조혈모세포를 빼내고 새로운 조혈모세포를 넣어주는 것이다.

연세암병원 연구팀(혈액내과 김진석, 방사선종양학과 서창옥,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종희, 병리과 김세훈)은 19명의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고위험군 환자에게 항암치료 후 곧바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하고 이 결과를 '영국혈액학회지'(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최근호에 보고했다.

임상 결과 자가조혈모세포를 이식한 환자군은 5년 생존율이 80%까지 향상됐다. 조혈모세포를 새로 이식한 환자 80%가 5년 이상을 살았다는 얘기다. 반면 항암치료만 받은 환자군(47명)의 5년 생존율은 50% 수준이었다.


또 병이 진행하지 않고 생존하는 확률인 '5년 무병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역시 자가조혈모세포를 이식한 환자군이 60% 정도로, 항암치료만 받은 환자군(20%)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는 고용량의 메토트렉세이트 항암치료 이후에 자가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경우 미세하게 남아있는 잔류암을 조절함으로써 더 향상된 장기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65세 미만이면서 전신상태가 양호한 고위험군의 원발성중추신경계림프종 환자는 항암치료 후 바로 자가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게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김진석 교수는 1996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2년간 연수했다. 현재 연세암병원 혈액암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와 대한혈액학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림프종연구회와 다발성골수종연구회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또 아시아 골수종 네트워크(Asian Myeloma Network)와 아시아 림프종 연구그룹(Asia Lymphoma Study Group)의 맴버로도 참여하고 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