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학술대회서 최응천 동국대 교수 주장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비구니 사찰인 경북 청도 운문사에 있는 '동호'(銅壺), 즉 동항아리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교용기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동호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뒤 고려시대부터 사리기로 사용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응천 동국대 교수는 10일 청도 청소년수련관 다목적홀에서 '운문사의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열리는 학술대회에서 보물 제208호인 운문사 동호의 제작 시기와 용도에 관한 새로운 견해를 담은 논문을 발표한다.
운문사 동호는 높이 55㎝, 아가리 지름 19.5㎝, 몸체 지름 31㎝로, 뚜껑 손잡이에 연꽃잎 6장과 불꽃 모양 장식이 달렸다. 운문사에는 모두 9개의 보물이 있는데, 그중 유일한 공예품이 동호다. 어깨 부분에는 "함옹(咸雍) 3년(1067) 6월에 개조했고 무게는 30근"이라는 명문이 남아 있다.
7일 배포된 발표문에 따르면 최 교수는 이 동호에 대해 "전체가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몸체의 두께가 일정하고 매끄럽다"며 "항아리의 전반적 형태에서 균형감이 느껴지고 치밀한 주조 기법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고려시대보다 앞선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그간 운문사 동호가 물이나 음식을 담는 용기로 추정됐던 이유는 '감로준'(甘露樽)이라는 명칭이 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준'(樽)은 제사 때 술이나 물을 넣는 항아리 모양 그릇을 뜻한다.
그러나 최 교수는 동호의 뚜껑 손잡이에 불길 모양 장식물인 '화염보주'(火炎寶珠)가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는 "화염보주는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에서 나온 7세기 후반 사리기의 청동 외호(外壺)가 기원이 된다"며 "이후 사리기에서 화염보주는 사라졌지만,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시대 사이에 세워진 승탑이나 탑비의 상부에서 유사한 장식이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염보주는 사리신앙과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동호도 사리기로 쓰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최 교수는 동호 뚜껑의 불꽃 장식물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이 아니라 고려 정종 3년(1067) 개조되면서 부착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뚜껑 내부에 별도로 손잡이와 결합된 흔적이 남아 있고, 지금도 손잡이 하단부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흔들린다"면서 "통일신라시대에 제작해 다른 용도로 쓰다가 고려시대에 개조할 때 손잡이만 별도로 만들어 사리기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봉업사명 청동향로(보물 제1414호)의 뚜껑 위쪽에도 운문사 동호와 유사한 불꽃 장식이 있는데, 동호와 마찬가지로 사리기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최 교수는 조사 과정에서 운문사 동호의 무게를 측정해 전체는 14.1㎏, 뚜껑은 1.75㎏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명문에 새겨진 '30근'은 동호 전체의 중량을 기록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운문사의 역사와 문화재를 조명하는 다양한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오세덕 경주대 교수는 운문사 유물을 통해 본 가람배치 변화에 관해 이야기하고,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와 김정희 원광대 교수는 각각 운문사의 불상과 불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