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만 40세 국민검진은 백지화…"치료 수용 능력 부족"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정부가 '결핵 안심국가'를 목표로 올해 초부터 의료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사를 시행한 결과, 감염 양성자가 21.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7월부터 시작하기로 했던 만 40세 국민 대상 잠복결핵 검사는 사업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계획을 백지화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1일 "집단시설에서의 결핵 전파를 막기 위해 올해 의료기관,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38만명에 대해 잠복결핵 검진을 하기로 하고, 이중 12만8천명(33.8%)의 검진을 완료한 결과 2만7천명(21.4%)가 양성자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시설별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양성률이 29.8%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종사자 20.9%, 의료기관 종사자 18.4% 순이었다.
사회복지시설 종사는 10명 중 3명꼴로, 어린이집·의료기관 종사자는 10명 중 2명꼴로 잠복결핵인 셈이다.
정부의 결핵 정책을 심의하는 결핵전문위원회는 이런 결과를 검토하고 만 40세 잠복결핵 검진 사업은 시행하지 말 것을 권고, 의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사업 타당성과 효과, 양성자에 대한 치료 수용 능력, 대규모 집단 검진의 치료 순응도 및 부작용 가능성, 신약(리파펜틴) 도입 과정에서의 애로 등 여러 측면을 논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리파펜틴을 신속히 도입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 중이나 결핵전문위원회는 리파펜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검진과 치료는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치료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치료 의료기관을 구성하고 의료인 교육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잠복결핵 감염은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은 됐으나 증상이 없고 타인에게 전파되지도 않지만, 나중에 결핵이 발병할 소지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통계적으로 잠복결핵 감염자 중 5∼10%에서 추후 결핵이 발병한다. 잠복결핵을 치료하려면 1∼2가지 항결핵제를 3∼9개월간 복용해야 한다.
정부는 202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10만 명당 12명 이하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지난해 '결핵 안심 국가 실행계획'을 확정해 추진해왔다.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