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만4~7세 아동 15명 대상 연구결과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표정을 시시각각으로 바꿔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소셜 로봇이 자폐증의 일종인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만 4~7세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소셜 로봇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은 조사 대상 아동을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장착한 소셜 로봇에게 교육을 받은 그룹(8명)과 전문 치료사에게 교육을 받은 그룹(7명)으로 구분했다.
이 중 소셜 로봇 그룹의 경우 로봇이 아이에게 인사를 건네며 얼굴 탐지기를 이용해 시선을 맞추는지 확인하는 분석이 이뤄졌다.
또 로봇의 표정에 기쁨, 슬픔과 같은 감정을 띄워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이 감정을 알아챌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으며, 아동이 정답을 맞히면 로봇이 동요를 부르고 춤을 추는 등 적절한 보상을 제공했다.
그 결과, 환자가 눈을 맞춘 비율이 소셜 로봇 그룹의 경우 치료 전 20%에서 치료 후 78%로, 전문 치료사 그룹은 17%에서 74%로 증가했다.
감정 인식 정확도 역시 소셜 로봇 그룹은 치료 전 16%에서 치료 후 83%로, 전문 치료사 그룹은 14%에서 90%로 높아졌다.
즉, 소셜 로봇에게 치료를 받아도 사람(전문 치료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이번 연구에는 유진로봇이 개발한 'iRobiQ'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눈을 통한 감정 표현에 초점을 맞춰 개발한 로봇 'CARO'가 활용됐다.
유희정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앓고 있으면 상대방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시선을 잘 맞추지 못해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는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환자를 위한 훈련 시설이나 치료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로봇이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 전문 치료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자폐증 연구'(Autism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k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