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DGIST 성과 '뉴런'에 논문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뇌 속 신경세포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의 형성 과정을 밝혔다. 시냅스 형성은 자폐증, 조울증 등의 질환과 관련돼 있어 이런 질환 연구에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호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와 고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 공동연구진은 억제성 시냅스 발달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이 일어나는 장소로, 뇌 기능 수행의 가장 기본단위다.
시냅스는 하나의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느냐 억제하느냐에 따라 흥분성 시냅스와 억제성 시냅스로 나뉜다.
이들 시냅스가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는지, 자세한 과정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연구진은 이번에 'MDGA1'이라는 단백질이 억제성 시냅스 형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억제성 시냅스는 '뉴롤리진-2'와 '뉴렉신'이라는 두 접착 단백질의 결합으로 형성되는데, MDGA1 단백질이 둘 사이의 결합을 끊는다는 것이다.
이는 MDGA1의 3차원 구조를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알아냈다.
김호민 교수는 "구조생물학 분야 연구진과 신경생물학 분야 연구진의 협력으로 시냅스 발달을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의 작용 과정을 규명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시냅스 단백질들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뇌·정신질환의 발병 메커니즘을 폭넓게 이해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며, 이런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6월 21일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실렸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