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서 "중국산 불매" 목소리 커져…"효과 없다" 신중론도

입력 2017-07-12 15:23  

인도서 "중국산 불매" 목소리 커져…"효과 없다" 신중론도

(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최근 중국과 인도가 히말리야 접경지대에서 일촉즉발의 대치상황을 지속하는 가운데 인도에서 중국산 제품 불매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반중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반발해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며 인도 역시 중국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등 강경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12일 인도 언론에 따르면 여당인 인도국민당(BJP) 델리 주 위원장인 마노지 티와리는 최근 수도 뉴델리에서 중국산 제품 판매를 중단하라며 상인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티와리 위원장은 칸마켓, 하우스카즈빌리지 등 뉴델리 시내에서 "불량배처럼 행동하는 중국에 교훈을 줘야한다"면서 "인도가 중국산을 불매하면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칸마켓 상인조합의 산지브 메라 회장은 "국익이 걸린 문제"라며 "시장 상인들에게 다가오는 축제 시즌에 중국산 물건을 팔지 말라고 종용하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서부 마하라슈트라 주 뭄바이 교장연합회는 소속 1천500개 학교에 중국산 문구 제품 사용을 중단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연합회는 "이 나라가 처한 현실을 학생들이 알아야 한다"면서 "중국이 인도에서 얻는 이익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힌두우익단체인 비슈바 힌두 파리샤드(VHP)도 중국이 국경문제를 들어 최근 인도 힌두 신자들이 중국 티베트 카일라시 산과 만사로바르 호수로 순례 가는 것을 차단했다며 이에 대한 항의로 중국산 물품을 불매하자고 제안했다.

인도 싱크탱크 정책연구소(CPR)의 브라마 첼라니 교수는 일간 힌두스탄타임스 기고문에서 최근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를 문제 삼아 한국에 보복한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인도도 중국의 전략을 그대로 따라 중국에 무역 보복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중국산 불매 운동이 실제 중국에 미칠 타격은 미미한 반면 오히려 인도 경제에 미칠 파장은 크다며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인도는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583억3천만달러(약 67조원) 어치를 수입해 다른나라보다 중국의 수입 비중이 가장 컸지만, 중국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의 전체 수출 규모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2%에 불과하기에 불매운동이 중국 경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인도 경제지 이코노믹타임스는 지적했다.

한편, 중국과 인도는 지난달 중순부터 중국 티베트(시짱<西藏>자치구)-인도 시킴-부탄 3개국 국경선이 만나는 도카라(중국명 둥랑·부탄명 도클람) 지역에서 중국군의 도로 공사 적절성을 놓고 각각 3천여 명의 병력을 배치해 대치하고 있다.




ra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