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시민단체 등 '공익형 이사제 실현 범시민대책위' 출범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조선대 법인 이사회 구성을 둘러싼 갈등이 5개월째 계속되면서 학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학 구성원과 시민단체 등은 공익형 이사회 실현을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 주목된다.
20일 조선대에 따르면 법인 이사회는 지난 2월 25일 7명(정원 9명·2명 사퇴)의 임기가 만료됐지만, 아직 후속 이사 선출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이사회 구성을 위해서는 우선 3명의 개방이사 선임 절차가 먼저 진행돼야 하는데 이사회와 대학 구성원의 갈등으로 선출 절차가 중단된 상태다.
그나마 학교 측 요청을 받아 교육부가 개방이사 추천 절차를 밟고 있지만 이마저도 언제 진행될지 불투명하다.
조선대 법인 이사회 구성을 둘러싼 갈등의 원인은 구재단 측과 대학 구성원들의 대학 운영권에 대한 시각차 때문이다.
구재단 측은 기존대로 이사 9명(개방이사 3명, 구재단 측 이사 3명, 교육부·학교 측 이사 3명)을 선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교수·직원·총동창회로 구성된 대학자치운영협의회(대자협)와 1980년대 학내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졸업생들의 모임인 민주동우회 등 구성원들은 공익형 이사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공익형 이사제는 광주시장·전남지사, 광주시·전남도 교육감이나 이들이 추천하는 공직자로 4명의 공공부문 추천 이사를 비롯해 대학 구성원을 대표하는 당연직 이사 2명, 지역과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개방이사 3명 등 9명을 이사로 뽑자는 안이다.
하지만 일부에서 광주시나 전남도의 사립대학에 예산 지원 가능성 등을 들어 공익형 이사제 실현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이사회 구성 선결 조건인 개방이사 3명에 대한 선임 절차가 단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사회 구성이 늦어지고 민주동우회 소속 회원들의 법인 사무실 앞 농성이 계속되면서 징계위원회 구성 난항 등 각종 학교 내 업무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등 부작용도 나오고 있다.
또 조선대 일각에서는 현 정부가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할 예정인 '공영형 사립대'가 조선대 정상화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공영형 사립대는 정부가 연간 대학 경비의 50%가량을 지원하고 공익이사를 파견해 대학 운영을 함께하는 것이다.
공영형 사립대가 호남인 7만2천명의 회비로 태동한 조선대의 설립 취지와도 맥락이 같아 도입된다면 지역사회의 거부감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대자협과 교수평의회 등 학내 단체, 산하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한 '조선대 제2기 이사 즉각 퇴진 및 국민 공익형 이사회 실현을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가 교내 서석홀에서 이날 출범식을 했다.
이들은 출범 선언문에서 "대학 구성원과 지역민 누구도 인정하지 않는 임기 만료된 제2기 이사는 즉각 사퇴해야 한다"며 "지역민이 세워 지역민이 주인인 조선대에 공익형 이사제를 쟁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법인 이사장 판공비 횡령과 일부 이사의 비리에 대한 고소장을 광주지검에 접수하고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kj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