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율 워킹그룹 위원 "원전·석탄 줄면 최소 예비율 감소"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정부 정책대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확대하려면 신재생 발전의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작성에 참여하는 민간 자문가 그룹인 '예비율 워킹그룹'의 노재형 건국대학교 교수는 26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와 한국자원경제학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주최한 '친환경 전력공급체계 구현을 위한 세미나'에서 8차 수급계획의 설비예비율에 대해 발표했다.
설비 예비율은 전력공급이 발전소 고장이나 예방정비, 건설 지연 등의 변수로 전력수요보다 부족할 상황에 대비해 확보하는 여유 발전용량이다.
노 교수는 "신재생 전원을 2030년 발전량의 20%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발전소 건설 지연과 출력 불확실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재생은 다른 발전 수단보다 출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충분한 백업 전원을 확보해야 한다.
탈원전 반대진영에서는 신재생 발전을 백업할 가스터빈발전기를 추가로 지어야 해 발전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노 교수는 가스터빈발전기를 더 짓는 방법도 있지만, 수요가 적을 때 전력을 저장했다가 부족할 때 송전해주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추가 발전설비가 필요 없는 방식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예비율이 증가하지 않아도 된다.
노 교수는 "이번(8차) 계획에서는 신재생 확대로 예비율이 더 높아진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며 "시간이 많이 있어서 어느 방법이 더 경제적인지 연구한 후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원전은 안전성 등의 이유로 예방 정비일이 석탄이나 LNG보다 길고 발전기당 용량이 크기 때문에 새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원전·석탄이 감소하면 최소예비율 수준은 7차 계획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비율을 산정할 때 적용하는 기준인 기대공급지장일수(LOLE)는 7차 계획과 같은 0.3일/년으로 설정했다. 이는 1년에 7.2시간 이내의 전력공급지장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세미나에서는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전력 사용을 줄이는 수요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성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요관리는 가장 경제적인 전력수급 자원이며 제1의 에너지자원"이라며 "저탄소 시대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 수요관리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에너지경제효율위원회(ACEEE)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로 인한 전기 절약이 2015년 미국 전체 발전량의 18%를 차지했고 2030년에는 3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 2001~2016년 효율 개선으로 전체 전력수요의 13.1%를 절감했다고 이 연구위원은 추정했다.
이 연구위원은 수요관리 방안으로 전력시스템의 지능화, 고효율 제품 사용, 에너지 절약 의식 확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부하관리 기기 보급, 자가용 태양광 발전을 비롯한 자가발전 확대 등을 제안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