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보다 서비스 강화된 카카오뱅크 출범
기존 은행과 규모 경쟁은 한계…관련법 개정돼야 성장 가능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카카오뱅크가 27일 공식 출범함에 따라 인터넷 전문은행의 돌풍이 다시 한 번 몰아칠지 주목된다.
카카오뱅크는 후발 주자의 이점을 십분 살리며 기존 케이뱅크보다 강화된 서비스를 내놓았다.
시중은행은 카카오뱅크가 카카오톡과 연계된 만큼 폭발력이 케이뱅크 이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전문은행이 은행으로서 몸집을 불리기 위해서는 '은산분리'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해 아직은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카카오뱅크가 이날 선보인 상품과 서비스를 보면 인터넷 전문은행 1호인 케이뱅크보다 진화된 모습이다.
우선 전국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11만4천대에서 무료로 입·출금과 이체를 할 수 있다.
케이뱅크는 GS25편의점에 깔린 현금지급기(CD) 1만여대에서만 무료로 출금할 수 있지만 입금할 수 있는 ATM기는 600여대가량에 불과하다. 케이뱅크 가입자가 다른 ATM에서 입출금하려면 수수료를 내야 한다.
카카오뱅크가 선보인 신용대출은 한도가 1억5천만원으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케이뱅크를 포함해 은행권의 직장인 대상 모바일 전용 신용대출의 한도는 1억원이고, 이 중 씨티은행이 1억4천만원으로 높다.
카카오뱅크의 해외송금 비용은 기존 시중은행에 견줘 10분의 1 수준으로 파격적이다.
케이뱅크가 일으킨 돌풍을 카카오뱅크가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앞서 케이뱅크는 24시간 모바일로 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과 낮은 대출금리, 높은 예금금리라는 가격경쟁력으로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금융권에서 일하는 정모(54)씨는 "호기심에 케이뱅크에 가입해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었는데 금리가 낮아 기존 대출을 마이너스 통장으로 갚았다"며 "금융회사에 일해 우대금리를 받고 있지만 케이뱅크 금리가 조금 더 낮았다"고 말했다.
기존 은행권은 제2의 인터넷 전문은행의 등장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반응이지만 긴장하는 기색은 역력하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카카오톡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 편리성이 한층 더 클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간편송금 기능의 그 사례다. 상대방의 계좌를 모르더라도 카카오톡의 친구로 등록돼 있다면 돈을 보낼 수가 있다.
기존 은행권은 비대면 채널의 서비스를 강화하며 인터넷 전문은행의 침공에 반격의 카드를 꺼냈다.
우리은행[000030]은 올해 말까지 인터넷뱅킹과 스마트뱅킹 등 비대면 채널로 해외송금을 하면 수수료를 낮추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소득증명 없이 비대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액 모바일 대출 서비스인 'KB 리브 간편대출'을 내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카카오뱅크는 전 국민이 사용할 정도로 사용자가 많은 카카오톡과 연계돼 있어 영향력은 케이뱅크 때보다 더 클 것"이라면서도 "인터넷 전문은행은 규모 면에서 아직 기존 은행권과 상대가 되지 않아 한계 역시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케이뱅크가 출범한 지 두달 만에 연간 목표를 달성했다고 하지만 이달 11일 현재 누적 예금이 6천500억원, 대출은 6천100억원이다.
대개 한 시중은행의 저축성 예금 수신액이 100조원 이상, 여신액이 200조원 이상인 것과는 비교되지 않는다.
인터넷 전문은행에 '은산분리'가 절실한 까닭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 은행법상 금융회사가 아닌 산업자본은 은행 지분을 10%까지만 보유할 수 있고, 의결권은 이 중 4% 이내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고객의 예금을 '사금고'로 활용하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정보기술(IT) 기업이 최대 주주여서 최대 주주가 은행의 덩치를 키우고 싶어도 이 조항에 막혀 자본을 늘릴 수가 없는 실정이다.
국회에 산업자본의 의결권 지분을 50%까지로 늘리는 은행법 개정안과 34%까지 허용하되 5년마다 재심사받게 하는 인터넷 전문은행 특례법안 등이 상정됐으나 은산분리 완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아 법안 처리가 지연되고 있다.
새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금융에서 소외되는 '핀테크 디바이드(Fintech divide)'도 인터넷 전문은행이 넘어야 할 산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고령층이 많이 늘어나고 있고, 모바일뱅킹의 사용자 환경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고령층에는 모바일뱅킹이 익숙지 않다.
케이뱅크 출범 첫달인 올 4월 고객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30∼40대가 전체 고객의 70%를 차지해 시중은행(45%)보다 젊은 고객들이 많았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 앱(애플리케이션)은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쓸 수 있을 정도로 쉽게 만들었다"면서 "어르신들도 카카오뱅크를 이용하하는 것을 어려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pseudoj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