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남창희 교수팀 군사학적 연구 결과 발표
(인천=연합뉴스) 정광훈 기자 = 인천 강화도 정족산성(삼랑성)의 실제 축조 시기가 고조선 초기인 4천 년 전일 가능성이 크다는 학설이 제기됐다.
군사고고학연구회 회장인 인하대 남창희 교수는 지난 5년에 걸친 동북아 고대 산성 비교 연구 과정에서 정족산성의 구조와 위치를 군사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축성 시기를 고조선 초기로 추론할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전등사가 위치한 정족산성은 전형적인 포곡식 산성으로 가파른 외 측면 산세를 이용한 천혜의 군사기지다. 포곡식 산성은 계곡을 둘러싼 능선에 산성을 쌓아 성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구조의 성을 말한다.
1866년 병인양요 때 양현수 장군이 강화도에 상륙하려는 프랑스군을 격퇴했을 정도로 정족산성은 방어에 유리한 지형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정족산성의 축조 시기와 관련해서는 고려 시대에 처음 쌓았다는 기록이 고려사에도 없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설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먼 과거에 축조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이 때문에 축조 시기를 놓고 학설이 분분한데, 남 교수팀은 한성백제 시기와 3천500년 이전이라는 두 개의 군사학적 가설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했다.
군사 지리적 위치와 수용 능력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정족산성은 해양력이 발달한 북방세력의 전방작전기지(Forward Operating Base)로 효용이 높았다고 남 교수는 설명했다. 동시에 한반도 내륙의 전략적 가치 중심을 노리는 적대 세력의 원정 상륙을 막는 방어기지로써도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남 교수팀과 국방대 권태환 교수는 BC 8세기부터 한성백제 말기 475년까지 약 1천200년간의 동북아 국제 관계 주요 변동 시점에서 정치군사 모의분석을 실행했다.
그 결과, 강화도에 대형기지를 설치할 전략적·작전적 필요는 BC 8세기 이전과 한성백제 시기에 존재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한성백제 시기보다는 2천800년 이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잠정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삼국시대 이전 해양력 발전의 지표는 천문기록과 항해인데, 두 가지를 충족시킨 국가는 고대 동북아에 고조선뿐이었다는 주장이다. 중원 문화에 없는 고인돌의 별자리 새김문화와 신석기 시대 원양 어로 암각화의 존재가 고조선의 앞선 해양력을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또 고조선 말기에는 제나라, 연나라 등 대륙 세력의 위협에 집중해야 했기 때문에 고조선 남쪽 주변부인 강화도에 대규모 군사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었다는 해석도 나왔다.
따라서 정족산성은 BC 2천300년 경 고조선 초기 세력권이 한반도 남쪽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토착 해양세력과의 갈등 흔적이라고 남 교수팀은 해석했다.
김연성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소장은 "정족산성이 4천 년 전에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서도 손색이 없다"고 말했다.
남 교수는 "초대 단군 때 참성단과 삼랑성을 쌓았다는 세종실록지리지의 공식 기록을 전설로만 치부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bar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