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도 몽골·이스라엘 접촉늘리고 美와 군사 협력 강화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이 히말라야 산지에서 군사대치 중인 인도를 압박하기 위해 파키스탄과 네팔을 끌어들이고 있다. 인도도 미국과 군사협력을 강화하며 몽골, 이스라엘 등과 접촉을 늘리고 있다.
1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과 인도간 무장병력 대치가 두달째로 접어들면서 왕양(汪洋) 부총리는 최근 인도의 숙적 파키스탄을 찾은데 이어 분쟁 현장과 인접한 네팔을 방문했다.
왕 부총리는 지난 13일 이슬라마바드에서 샤히드 카칸 압바시 파키스탄 신임 총리와 회견을 갖고 양국간 실무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깊은 의견을 교환하고 합의를 이뤘다고 통신은 전했다.
왕 부총리가 파키스탄을 '철석같은 친구'이자 전천후 전략적 협력동반자라고 하자 압바시 총리는 양국 관계를 '형제의 관계'라고 화답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왕 부총리가 파키스탄 방문을 마치고 14일 네팔 카트만두에 도착했다며 네팔 대통령과 총리, 부총리와 연쇄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화 대변인은 양국이 서로 좋은 이웃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의 틀에서 협력을 심화하고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전했다.
중국이 군사적으로 인도를 겨냥한 훈련을 벌이며 무력 엄포를 놓는 것과 동시에 외교적으로 인도 주변국의 지지를 확보해 인도에 압박을 가하려 하고 있다고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전했다.
중국군은 잇따라 고지대 훈련을 늘리며 인도군과의 무력충돌에 대비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서부전구(戰區) 소속의 육군 제76집단군이 최근 고원산지에서 탱크와 로켓포, 미사일을 동원해 지하 벙커와 토치카를 공격하는 훈련을 벌이기도 했다.
해방군보(解放軍報)는 앞서 티베트 지역 여단부대가 해발 4천600m의 고지 훈련장에서 로켓포, 유탄포 등을 투입해 야간 진공하는 타격훈련을 벌였다고 전했다.
인도도 만만치 않다. 중국의 머리맡에 있는 몽골과 접촉을 늘려 중국을 견제하려는 포석을 쌓고 있다.
지난달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칼트마 바툴가 몽골 신임 대통령을 인도로 초청했다. 모디 총리의 2015년 몽골 방문에 대한 답방으로 중국을 낀 남북의 이웃으로 날로 확대되는 중국을 견제해야 한다는 공동인식이 밑바탕이 됐다.
바툴가 대통령 역시 대선 당시 중국의 몽골 자원 침투와 중국에 대한 지나친 경제의존도를 비판하는 입장을 내세워 승리를 거둔 인물이다. 당선후 첫 축하 사절단에는 인도 대사도 포함돼 있었다.
이번 도카라 지역에서 군사대치가 벌어지기 이전부터 인도는 일대일로 구상을 비롯한 중국의 전략에 의구심을 품어왔다. 중국의 이 같은 전략이 남아시아, 인도양에서 인도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대일로 일환으로 추진되는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이 인도와 파키스탄간 분쟁 지역과 가깝다는 점도 우려의 대상이다. 인도 정부는 지난 5월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에 대표단 파견을 거부했다.
인도는 미국과도 중국 견제를 위한 전략적 이해관계의 접점을 맞춰가고 있다. 지난 6월 하순 모디 총리는 미국을 방문하고 미국으로부터 '가장 중요한 전략적 동반자' 지위를 확보했다.
내달중에는 산악전에 뛰어난 200명 이상의 인도·부르카 연합 보병부대를 미국 워싱턴주 군사기지에 파견해 미군과 합동훈련을 하기로 했다. 독일 주간지 '포커스'는 미국과 인도간 교류 확대는 중국을 겨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과의 관계도 급진전되고 있다. 모디 총리는 1962년 중국·인도 전쟁 당시 인도에 무기를 공급해줬던 이스라엘을 지난달 5일 방문했다. 인도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이스라엘의 수출무기 42%를 소화하는 나라다.
지난달 7일엔 중국과 인도 사이에 끼어있는 미얀마 국방군 총사령관을 초청해 모디 총리와 회견을 가졌다. 왕 부총리가 방문했던 네팔도 오는 23일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총리를 인도에 보낼 예정이다.
인도와 중국은 브릭스(BRICs·신흥 경제 5개국) 포럼의 일원이자 지역 경제·안보협의체인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이면서도 서로 맞지 않은 이해관계로 인해 주변국을 상대로 치열한 물밑 외교전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SCO는 지난 6월 카자흐스탄 정상회의에서 인도와 파키스탄을 새 회원국으로 가입시키자 마자 중국과 인도간 군사대치로 전략갈등이 심화되면서 갈길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jo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