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열도에 '붉은 中기업' 속속 상륙"…日언론 '정치리스크' 우려

입력 2017-08-21 11:17  

"日열도에 '붉은 中기업' 속속 상륙"…日언론 '정치리스크' 우려

제조업 이어 서비스업까지…결제·개인정보 취급에 경계감 표시

(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 '붉은 중국 기업'들이 제조업에 이어 새로운 비즈니스를 내세워 서비스업까지 속속 일본열도에 상륙하며 정치리스크도 우려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그룹이 스마트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박기업 투지아(途家)는 일본 전자상거래업체 라쿠텐과 제휴했다. 기술을 노린 제조업에서 서비스 분야로 관심이 이동했다.




현재 중국과 일본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영토분쟁 등 정치리스크가 있지만 "2017년은 '(중국) 붉은 경제권'이 일본으로 몰려드는 고비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도쿄 아키하바라의 빌딩 한 사무실에 작년에 문을 연 중국 민박업체 투지아 일본법인에서는 직원 수 명이 근무 중이지만 1억8천만명이 전용 앱을 다운로드하고 있다. 미국 에어비앤비의 경쟁자다.

투지아는 라쿠텐과 제휴 사실을 2일 발표했다. 라쿠텐은 투지아와 함께 하면 연 수백만명의 중국인 관광객들을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내년에 투지아 사이트에 라쿠텐 물건도 올린다.

알리바바도 중국에서 5억명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결제 앱 '알리페이' 서비스를 내년 봄 일본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사실도 전해졌다. 현금에 치우친 일본의 결제문화를 바꾸겠다고 벼른다.

알리바바 산하 금융회사 앤트파이낸셜(Ant Financial)재팬은 일본 사업에 강한 의지를 비친다. 중국관광객이 알리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일본 내 점포를 5만곳으로 늘린다.

중국기업의 일본 진출이 본격화된 것은 2010년께다. 부진한 일본 업체를 인수하는 사례가 많았다. BYD가 금형업체 오기하라(군마현 오타시) 공장을 인수한 것이나, 가전양판점인 쑤닝전기(蘇寧電器) 그룹이 라옥스를 사들인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대일 직접 투자는 4천372억엔(약 4조5천500억원)이다.

중국기업의 일본 진출이나 인수는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영토 갈등 등으로 한때 줄어들기도 했지만 2013년 이후에는 매년 3천억∼5천억엔 정도의 규모로 안정적인 추이를 보인다.

2017년 1∼6월은 833억엔에 머물고 있지만 중국기업의 대일투자에 정통한 니시무라아사히법률사무소에 따르면 제휴나 단독진출 등 인수 이외의 수법이 늘었고, 진출 건수도 늘고 있다고 한다.

요즘은 대상이 소비·서비스 분야로 넓어졌다. 2016년에는 637만명의 중국인이 일본을 방문했는데 그 가운데 400만명 이상이 호텔 예약 등을 위해 중국 여행사이트 씨트립(Ctrip)을 이용했다.

22일에는 공유자전거업체 모바이크가 삿포로시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중국계 부동산 5개사 연합은 싱가포르 글로벌 로지스틱 프로퍼티스(GLP)를 인수, 일본 최대급 물류시설운영회사가 되었다.

제조업에도 새로운 움직임이 있다. 통신기기 업체 화웨이는 올 봄 일본의 구인 사이트를 통해 '10년이상 정밀자동화 설비경험'이 있는 기술자 모집광고를 했다. 근무지는 지바현 후나바시다.

화웨이는 후나바시의 공장철거지에 50억엔 정도 투자해 연내에 통신기기를 연구·제조하는 새 거점을 꾸민다. 통신사업자들이 사용할 기기를 취급한다. 일본발 기기를 세계에 팔 계획이다.




제조업에서 시작된 중국기업의 일본 진출이 소비나 서비스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은 중국 경제권 자체가 일본에 상륙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니혼게이자이는 경계감을 드러냈다.

알리바바는 포장마차에서도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쇼핑문화를 전파하고, 모바이크는 일본에서는 진귀한 민간에 의한 자전거 공유경제를 도입하려고 한다. 일본소비자가 중국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중국기업의 일본상륙은 공유경제 등 일본의 규제를 무너뜨리는 효과도 있지만 공산당체제 국가의 기업이 결제나 개인정보를 취급, (정보누출이 우려되는) 정치리스크도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일본의 기업이나 규제 당국이 팽창해 들어오고 있는 중국 경제권에 어떠한 위치를 부여해 갈지 등에 대해 새롭고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tae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