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예장자락 '경술국치' 현장, 역사탐방로 된다

입력 2017-08-21 11:15   수정 2017-08-21 14:43

남산 예장자락 '경술국치' 현장, 역사탐방로 된다

내년 8월 '국치길' 조성해 개방…옛 통감관저터∼조선신궁 '일제강점' 역사 한눈에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107년 전인 1910년 8월 22일.

서울 남산 예장자락의 한국통감관저에서 대한제국 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 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한일 강제병합 조약 문서에 도장을 찍는다.

대한제국이 국권을 완전히 상실한 경술국치(庚戌國恥)의 발단이 된 날이다. 이 조약은 일주일 뒤인 29일 공포되며 35년간의 일제강점기가 시작된다.

경술국치 현장인 남산 예장자락은 일제강점기 무단통치의 전초기지가 됐다가 해방 이후에는 중앙정보부가 들어서 100년 가까이 쉽사리 다가갈 수 없는 곳으로 남아 있었다.

서울시는 이렇게 아픈 역사를 담은 남산길 1.7km 구간을 역사탐방로로 조성해 내년 8월 개방한다고 21일 밝혔다.

탐방로를 걸으며 쓰라린 국권 상실의 현장을 기억하고, 상처를 치유하자는 뜻으로 '국치길'로 이름 붙인 코스를 만들기로 했다.




국치길은 한일 강제병합 조약이 체결된 한국통감관저 터에서 시작한다. 1910∼1939년 조선총독 관저로 쓰인 곳이다.

이 길은 강제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서울애니메이션센터로 이어진다. 1921년 전기수리공으로 변장한 김익상 의사가 잠입해 폭탄을 투척한 항일 의거의 현장이기도 하다.

청일전쟁(1894∼1895년)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일제가 세운 갑오역기념비를 거쳐 1925년 일제가 만든 신사인 '조선신궁' 터에서 국치길은 끝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남산은 해방 이후에도 중앙정보부가 위치해 시민들이 관심을 두고 찾아올 수 없는 곳이 됐다"며 "그러다 보니 과거 이곳에서 우리가 나라를 잃었고,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한 시설을 설치했다는 사실을 아는 이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국치길의 각 기점에 표지석을 세워 잊혀가는 역사를 꼼꼼히 알려주기로 했다.

표지석은 덕수궁 인근에 있던 국세청 별관 건물을 허무는 과정에서 나온 조선총독부 산하 체신사업회관 건물의 폐콘크리트 기둥으로 만든다. 역사의 '파편'을 재활용한다는 취지다.

시는 오는 22일 독립유공자들과 국치의 현장을 함께 걷는 역사탐방 행사를 연다. 김구 선생 증손 김용만씨, 이회영 선생 후손인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의원과 윤봉길·장준하·백정기 선생 후손이 참석한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