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판매량이 美 판매량 추월…중국서 69% 폭증
고급차부문 4위 올라…"레이건시대 영광 되찾아"
(서울=연합뉴스) 문정식 기자 = 미국인들로부터 외면받던 고급차 브랜드인 캐딜락이 부활하고 있다고 월 스트리트 저널이 30일 보도했다.
캐딜락의 글로벌 판매는 레이건 미 행정부 시대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성장의 동력은 미국 기업들이 사업하기 까다로운 곳으로 보는 중국에서 형성되고 있다.
캐딜락의 글로벌 판매는 올해 1~7월에 23%나 늘어나 경쟁 고급차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거둔 판매 증가율은 69%에 이른다.
캐딜락의 해외 판매가 미국 판매를 앞지른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캐딜락은 지난 5년간 중국 시장 판매 실적을 3배나 늘릴 수 있었고 그 덕분에 캐딜락은 렉서스와 랜드로버, 볼보를 제치고 고급차 부문에서 4위로 부상했다.
캐딜락의 추격이 눈부시지만 아직 중국 시장에서는 'B-B-A'로 불리는 BMW와 벤츠, 아우디 등 독일 3강에는 한참 뒤져 있다. 중국인들이 독일산 고급차를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의 판매 감소와 유럽의 미지근한 반응 탓에 모기업인 제너럴 모터스(GM)는 경쟁사인 다임러와 BMW만큼 고급차 브랜드에 투자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에서 성공을 거두자 GM의 입장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자동차 회사들에서 고급차는 가장 수익성이 높은 모델이다. 고급차는 판매대수 기준으로는 10%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35%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업계 전반의 실태라는 것이다.
GM는 지난해 7.5%였던 글로벌 영업 마진을 향후 수년간에 걸쳐 1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고급차 브랜드가 성공을 거두지 않고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다.
캐딜락의 부활은 2014년 영입한 남아공 출신의 요한 데 니센 최고경영자(CEO)의 작품이다. 그는 미국 시장에서 아우디의 부활에 기여했고 2년간 인피니티에서 CEO로 일한 전문경영인이다.
니센은 캐딜락의 경영을 맡으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했다. 시장 점유율을 잃더라도 브랜드 이미지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 그의 굳은 소신이었다. 니센은 경쟁 고급차와 맞먹는 수준으로 고객 서비스도 개선했다.
니센의 전략에 힘입어 캐딜락의 미국 시장 평균 거래가격은 꾸준히 상승해 올해 상반기에는 대당 5만4천 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이는 메르세데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가격이다.
GM으로 이직한 직후 업계 전문지 오토모티브와 인터뷰한 니센 CEO는 GM이 아침에 회의를 소집하면 쉐보레, GMC, 뷰익을 논의하고 오후 3시가 돼서야 캐딜락을 논의하는 차례가 된다고 술회한 바 있다.
니센 CEO는 GM에 자리를 잡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캐딜락 경영본부를 디트로이트에서 뉴욕으로 옮겼다.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럭셔리 브랜드의 허브라는 점을 감안한 조치였다.
미국 자동차시장이 호황을 누리는데도 캐딜락의 점유율은 하락하고 있었다. 미국인들이 크로스오버 SUV를 선호한 탓이었다.
하지만 미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세단의 인기가 여전했다. 자동차 브랜드들에 대한 미국인들의 굳은 선입견이 중국에서는 없었다는 것도 캐딜락에는 다행스러운 점이었다.
캐딜락 마케팅 책임자인 우베 엘링하우스는 "캐딜락을 소유한 할아버지를 둔 중국인은 없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캐딜락 구매자의 평균 연령이 60대이지만 중국에서는 30대 중반이다.
중국에 진출한 GM은 국유 기업인 상하이자동차와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뷰익 같은 주력 모델의 판매를 확대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GM은 현재 중국에서 17개의 조립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뷰익은 폴크스바겐과 판매율 1위를 다투고 있다.
양국 합작사는 2004년에야 비로소 캐딜락을 수입, 판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현지인들의 기호에 맞는 모델을 선보이는 데는 굼뜬 모습이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GM 중국 법인을 이끈 케빈 웨일은 세금 감면을 노리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소형 4기통 엔진을 장착한 모델을 채택하도록 GM본사를 설득하는데 오랜 시일이 걸렸다고 말했다.
중국의 럭셔리 카 소유자들이 선호하는 뒷좌석의 TV스크린 설치도 역시 뒤늦게 이뤄진 것도 GM의 현지화 전략이 엉성했음을 말해준다.
상하이의 컨설팅 회사인 오토모티브 포어사이트의 예일 장 이사는 "중국의 고급차 소유자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보는가를 중시한다"고 밝히면서 "BMW와 벤츠, 아우디와 크게 다르면 지인들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캐딜락은 최근에 와서는 중국인들의 기호를 더욱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다. 비좁은 뒷좌석으로 미국에서 혹평을 받던 ATS 세단을 중국에서 판매하면서 뒷좌석을 키운 것이 대표적 사례다.
캐딜락은 중국에서도 크로스오버 SUV의 인기가 오르자 지난해 해당 차종을 선보였다. 크로스오버 SUV는 현재 중국에서 캐딜락 모델의 매출 가운데 근 40%를 담당한다.
jsm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