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테이퍼링 본격화 전망…日 현상유지 속 스텔스 테이퍼링 관측
캐나다 기준금리 인상 가속페달…영국도 곧 금리인상 가능성 시사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일(현지시간) 자산 축소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융위기 이후 9년간 고수했던 양적 완화에 종언을 예고했다.
연준이 이날 미국발 긴축 신호탄을 쏘아 올린 데 따라 이제껏 양적 완화에 동참했던 주요국 중앙은행도 돈줄 죄기로 돌아설 시점을 저울질하게 됐다.
미국에 이어 가장 먼저 긴축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건 유럽중앙은행(ECB)이다.
ECB는 오는 10월 26일 통화 정책 회의에서 구체적 양적 완화 축소(테이퍼링)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JP모건은 점쳤다. ECB는 2015년부터 양적 완화로 국채 사들이기에 나서면서 현재 자산이 4조9천억 달러까지 불어났다. 이는 연준(4조5천억 달러)보다도 많다.
지난 15일 사빈 로텐슐레거 ECB 집행이사는 "완화적인 통화 정책으로 성장세가 나타났고 이는 물가 상승률을 목표에 부합하게 할 것"이라며 "내년 초 자산 매입을 축소할지 결정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만 ECB는 자산 매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카드를 꺼내 들 것으로 보인다. 월간 순자산 매입액을 현행 600억 유로에서 내년 1월부터 400억∼450억 유로로 축소한다는 게 시장의 예상이다.
이는 다음달부터 만기가 돌아온 채권이 있을 때 일부는 재투자를 중단해 곧바로 보유 자산을 축소하는 연준에 비해선 초보적 수준이다. 일찌감치 추가 돈풀기를 멈췄던 연준과 달리 ECB의 양적완화는 아직 진행형인 상황이어서 그렇다.
이미 테이퍼링을 시작했다는 해석도 있다. 지난 3월까지이던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기간을 연말까지 9개월 늘리면서 4월부터는 매입규모를 월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줄이는 조치를 단행해서다.
이들 중앙은행이 이처럼 긴축 정책의 쌍두마차인 금리 인상과 자산 축소 중에서도 후자를 집중적으로 채찍질하려는 것은 보유자산 규모가 지나치게 불어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유럽연합(EU), 영국을 포함해 일본, 스웨덴, 스위스 등 6개국 중앙은행은 자국 국채 중 무려 20%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6개국의 국채 총액 46조 달러 가운데 15조 달러를 중앙은행에 쌓아둔 셈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침몰한 경기를 부양하려고 동시다발적으로 양적 완화에 나선 탓에 9년간 물가가 요동치고, 정크본드나 신흥시장에 자금이 쏠리는 등 후폭풍을 겪어야 했다.
각국 중앙은행은 대차대조표 축소를 통해 금리 인상보다 즉각적으로 시장의 유동성을 거둬들일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품고 있다.
반면 일본은행(BOJ)은 테이퍼링 여부를 놓고 아리송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아베노믹스'로 BOJ에 쌓인 자산이 4조5천300억 달러에 달하는 탓에 공식적인 테이퍼링 신호는 내놓지 않은 채 은근슬쩍 자산 매입을 축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른바 '스텔스 테이퍼링'이다.
일본 국제통화연구소(IIMA)의 히로시 와타나베 대표는 "일본 경제는 부양책을 축소해도 될 정도로 충분히 회복됐다"면서 "BOJ는 이미 채권 매입을 축소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테이퍼링보다는 금리 인상 카드로 맞서고 있는 국가도 많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다음 후보로 급부상했다. 지난 14일 열린 통화 정책 회의에서 "수개월 내 일부 금리 조정이 필요할지도 모른다"고 깜짝 발표해 시장을 흔들었다.
BOE는 당시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25%로 동결하긴 했으나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를 의식한 듯 예고에 없던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지난 6월 멕시코가 기준금리를 8년 만에 최고인 7%로 0.25%포인트 인상했으며, 캐나다는 이달 초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오른 1.0%로 발표했다. 이는 7년간 동결했던 금리를 지난 7월 처음 인상한 데 이어 두 달 만에 재차 올린 것이다.
newgla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