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쑨정차이 비판 운동 전개…후춘화도 비판 대열 합류

입력 2017-10-03 10:24  

中, 쑨정차이 비판 운동 전개…후춘화도 비판 대열 합류

쑨정차이 처벌 지지, 시진핑에 대한 충성 서약으로 이어져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였던 쑨정차이(孫政才) 전 충칭(重慶)시 서기가 비리 혐의로 출당 조치를 당한 이후 중국 각 지방과 부처가 일제히 쑨정차이 비판에 나서며 등을 돌렸다.

3일 중국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쑨 전 서기가 거쳐온 기관들을 중심으로 각 지방과 정부기관이 쑨 전 서기를 내친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당 중앙의 결정을 지지하며 그의 잔재를 일소하고 선을 긋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쑨 전 서기의 동반 후계지도자로 꼽히면서 19차 당대회에서 최고지도부 진입을 노리는 후춘화(胡春華) 광둥(廣東)성 서기가 쑨정차이 공개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후 서기는 지난달 30일 당위원회 상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쑨정차이 조사결과와 처분 내용을 전한 뒤 당 중앙의 결정과 권위, '통일된 영도'를 굳건히 옹호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언제, 어디서나, 어떤 사안이건 시진핑 주석과 당 중앙에 충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칭시 당위원회 기관지인 충칭일보는 3일 연속 쑨정차이를 비판하는 평론을 게재했다. 2일자에서는 쑨정차이를 '태평관(太平官·무사안일한 관료)이자 이중인격자'로 몰아붙였다.

그러면서 "쑨 전 서기의 당 기율 위반이 충칭의 개혁발전과 대외이미지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쳤다"며 "자발적으로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한 당 중앙과 고도의 일치를 유지하자"고 강조했다.

충칭일보는 앞서 "쑨정차이 사건에서 심대한 교훈을 얻고 전면 종엄치당(從嚴治黨·엄격한 당 관리)을 추진해야 한다"며 "쑨정차이와 선을 긋고, 시진핑에 충성을 다하자"고도 했다.

충칭시의 공안국, 발전개혁위원회, 재정국 등 각 부서도 회의를 열어 쑨정차이 조사 및 처분결과를 전달하고 이를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시 서기가 2012년 낙마했을 당시 충칭시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보시라이 비판과 선 긋기에 나서며 당 중앙에 충성을 맹세했던 상황이 5년 만에 재연되고 있는 것이다.

다른 지방의 당위원회도 쑨 전 서기에 대한 쌍개(雙開·당적과 공직 박탈) 처분을 지지하기 위한 회의를 잇달아 소집해 쑨정차이를 성토하고 있다. 특히 쑨정차이가 거쳐왔던 조직들의 비판 강도가 세다.

베이징시 당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영도간부회의를 열어 "당과 국가를 위해 19차 당대회 전 적시에 쑨정차이를 철저하게 조사해 중대한 정치적 우환을 제거했다"고 밝혔다.

회의는 이어 "쑨정차이의 엄중 기율위반 문제가 베이징 재직시에 시작됐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이는 우리의 심각한 반성과 고도의 경계를 촉구하는 대목으로 반드시 선을 긋고 잔재를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농업부도 지난달 30일 고위간부 대회에서 "쑨정차이가 과거 농업부 책임자를 지냈던 만큼 각 간부는 쑨정차이 위법 위기 문제의 엄중성과 위해성을 인식하고 그 악영향을 일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린성 역시 지난달 30일 영도간부 회의에서 "쑨정차이 재직 기간 지린성의 사업이 발전했지만 이는 오로지 개인의 승진 출세를 위한 것으로 지린의 정치생태계를 파괴하고 극심한 악영향과 위해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쑨정차이는 1995년 베이징시 농림과학원 상무부원장을 지낸 뒤 1997년 당시 자칭린(賈慶林)시 베이징 서기 등의 눈에 들어 베이징시 순이(順義)구 구청장과 서기에 이어 베이징시 비서장을 지냈다.

2006년 43세의 쑨정차이는 농업부장에 발탁되며 일약 중국 정가의 샛별로 떠올랐고 이어 지린(吉林)성 서기로 옮긴 다음 2012년 11월 18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과 충칭시 서기로 오르며 차세대 주자가 됐다.

이들 기관은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처분결과를 인용해 쑨정차이가 '아무런 이상과 신념도 없이', '당의 정치기율과 규칙을 심각하게 유린했고', '인사도 친소와 유불리에만 기댔으며' '부패 타락했다'는 질책을 되풀이했다.

당초 쑨 전 서기에 대해 보시라이 해악을 청산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었던 만큼 앞으로 충칭시와 베이징시, 농업부, 지린성 등에서는 쑨정차이가 남긴 잔재를 제거하고 측근 인사들을 숙청하는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충칭시 조직부장, 부시장, 비서장, 통전부장 등 5명이 당대회 대표직에서 탈락한 상태다.

jo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