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은 예상치 못한 사고에 취약" vs "없으면 산업·경제에 큰 타격"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11일 열린 신고리 5·6호기 울산지역 순회 토론회에서 건설 찬성과 반대 측 전문가들이 팽팽히 맞섰다.
토론회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위원회에서 주최하고 한국지방자치학회에서 주관해 울산대학교 학생회관 소극장에서 '지역사회와 원자력 에너지'라는 주제로 열렸다.
공론화 위원회 이윤석 대변인은 토론회에 앞서 "토론회는 지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상호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승자와 패자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의견이나 주장을 가진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는 과정으로, 발전적 대안을 찾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서는 먼저 윤병조 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와 김해창 경성대 환경공학과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윤 교수는 "부산·울산·경남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중화학 공업단지로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업종이 소재해 있다"며 "때문에 저렴하고 품질 좋은 전기 공급은 필수적으로, 부산·울산·경남에서 소비하는 전력의 49%를 고리와 신고리 원전단지에서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 주민은 일본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로 인해 원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지만 우리의 원전은 자연환경과 설계도 다르고, 방사성 물질 누출을 막아주는 격납 건물도 5배나 클 뿐만 아니라, 안전계통 설비를 보강해 지나친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신고리 5·6호기가 건설 중단되면 매몰 비용으로 2조8천억원의 세금이 낭비되고, 지역 원전 산업체와 일자리에 타격을 입게 된다"며 "대체 발전소 건설로 전기료가 상승해 중소기업의 생존이 위태로워지고 결국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김 교수는 "미국의 베크 박사가 21년간 미국의 원전 사고기록 246건을 분석한 결과, 사고는 예상치 못한 때 예상치 못한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결론을 냈다"며 "신고리 5·6호기가 이미 발생한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는 막을 수 있을지 몰라도 미사일 공격이나 테러, 전시 상황에서의 안전 대책이 마련되어 있는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 "신고리 5·6호기 설계 시 활성단층에 대한 지진평가가 배제됐다"며 "다수의 원전이 밀집했음에도 위험성 평가가 배제됐고, 원자로 시설과 인구밀집지역 간 최소 이격거리를 4㎞만 설정하고 미국 기준인 32㎞ 이상은 무시하는 등 안전성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원전은 사양산업으로 10년 내 태양광 발전이 원전보다 싸질 것으로 전망됨에도 지난 정부에서는 원전에 올인해 재생에너지 투자에 소홀했다"며 "만약 수상태양광 발전을 확대하면 국내 원전 11기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전국 골프장 면적의 태양광 패널로 2015년 기준 전력의 10%를 대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재영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와 박종운 동국대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가 나서 토론했다.
양 교수는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20% 확대를 위해서는 추가 설비용량이 필요하고, 발전 비용이 2016년 대비 21% 상승해 전력 수급의 불안정성이 증대된다"며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비용은 국민의 부담이 되고, 전기료 상승으로 제조업 중심의 울산 산업이나 전력 소비가 급증하는 4차 산업혁명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 교수는 "원자력 발전에 필요한 인프라 중 우리는 원전, 핵연료 최종 조립 공장,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만 있으며 특히 농축 우라늄은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라는 말이 무색하다"며 "고리와 한울 부지는 최대 10기의 세계에서 가장 밀집한 부지로, 원자력연구원마저 2015년에 '부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사건에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한 바 있어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재고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yongt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