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돈화문국악당 개관 1주년 기념 음악극 '적로' 내달 개막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사람이야, 사람의 일이야/ 달빛에 맺히어서, 새벽바람 내렸다가/ 햇빛에 돌아가는, 한 방울 이슬이로다/ 한 숨결에 일어나서, 한 시절을 노니다가/ 자취 없이 흩어지는, 한 자락 노래로구나." (음악극 '적로' 중 '세월은 유수와 같이')
오는 11월 3~24일 종로구 서울돈화문국악당 개관 1주년 기념 공연으로 선보이는 음악극 '적로'는 연출가 정영두, 극작가 배삼식, 작곡가 최우정이 의기투합한 공연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연계에서 내로라하는 스타 창작진이 뭉쳐 선보이는 '적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금 명인 박종기(1879~1941)과 김계선(1891~1943)의 삶과 예술에 관해 이야기하는 작품이다.
배 작가는 16일 돈화문국악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필멸의 소리로 불멸을 붙잡으려 헤매며 한 생을 지나갔던 이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소개했다.
그는 "두 명인이 남긴 삶의 흔적에서 시작한 작품이지만, 그들의 빼어난 업적을 기리는 전기적 작품은 아니다"라며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주할 수밖에 없는 한(恨)과 덧없음, 사라질 수밖에 없는 존재에 매달려야 하는 삶, 그 순간이 남긴 흔적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작품 제목인 '적로'는 방울져 떨어지는 이슬(適露)이자 악기에 불어넣은 입김에 의해 생긴 물방울(笛露), 혹은 예술가의 혼이 서린 악기 끝의 핏방울(赤露), 그 모두를 내포한 의미다.
박종기와 김계선은 대중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국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박종기는 대금 산조를 창시하고, '진도아리랑'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죽는 순간까지 대금을 연주하다 각혈하면서 눈을 감았을 정도로 밤낮으로 대금을 연주한 당대 최고 예인이었다.
김계선 역시 박종기와 같은 시대에 활동했던 대금 연주자다. 이왕직아악부의 간판스타(일제강점기 조선왕조 왕립음악기관의 후신)이자 한양합주(국악기와 서양악기의 합주)의 원조로 알려졌다.
'젓대(대금)의 속이 비어있듯, 사람도 비워야 남을 감동시킬 수 있다'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정영두 연출은 "덧없이 사는 사람 중에서도 음악인들이 그 정점에 있지 않나 싶다"며 "예술가로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깊은 고민, 동료 예술가들 간 끈끈한 교감이 잘 묻어나는 공연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음악에는 국악기부터 피아노와 클라리넷까지 다양한 악기가 활용된다. 장르도 국악뿐 아니라 당시 유행하던 스윙재즈 등의 대중음악과 현대음악까지 선보여진다.
이들 제작진은 서로와 함께하는 만족감도 드러냈다.
최우정은 "배삼식 작가의 대본은 음악적 형식을 잘 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언어가 가진 음악성도 유려하게 살리고 있다"고 평했다.
이어 "정영두 연출은 뮤지컬이나 오페라계를 제외한다면 악보를 읽을 줄 아는 유일무이한 비음악인"이라며 "배우들을 잘 이끌어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석 2만원.
sj997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