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 "LCD 화면 컬러필터에 적용 기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연어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해 금 나노막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금 나노막대는 금을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막대 형태로 제조한 입자이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윤동기 교수 연구팀이 연어 DNA를 이용해 센티미터(cm) 단위 넓은 면적에 적용 가능한 금 나노막대 배향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금 나노막대는 독특한 '표면플라즈몬 공명'(금속 표면에 있는 전자들의 집단적인 진동이 만드는 공명 현상) 특성이 있어 LCD 등 차세대 광전자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금 나노막대 배향 기술은 나노막대를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막대기들이 나란히 돼 있을수록 배향도가 높다고 하는데, 배향도가 높을수록 광학적·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기존 나노입자 배향은 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수준에서만 가능해 실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연어 DNA를 매개체로 이용, 평행·수직·지그재그 등 다양한 정렬을 갖는 금 나노막대-DNA 박막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연어 DNA는 인공합성 DNA에 비해 1천배 이상 저렴하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DNA 분자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금 나노막대-DNA 박막은 넓은 면적에서 고배향도를 가지며, LCD 화면 컬러필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윤동기 교수는 "금 나노막대 입자뿐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 배향에 적용, 광전 소자와 센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과 나노소재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매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지난 10일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