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일 바른정당 1차 탈당 공식화…한국당 합류 수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자강파간 중도통합 모색 주목…국민의당내 반발 전망
與, '인위적 정계개편 不추구' 방침 불구 국민의당 호남인사 이탈시 與도 영향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6·13 지방선거가 7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의도가 정계개편의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가시권에 들어온 보수재편이 그 입구지만 출구가 어떤 모습을 띨지 미지수다. 보수통합의 규모와 파장, 그에 따른 중도통합의 현실화 가능성 등 여러 변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일단 보수재편을 향한 열차의 출발은 임박해 있다.
바른정당 내 통합파들은 5일 오후 사실상 '이별 의원총회'에 참석한 뒤 6일께 탈당을 공식화하고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 분석이다. 그동안 말로만 계속됐던 보수 정계개편이 본격화하는 것이다.
1차 탈당 규모는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8명으로 보는 시각이 많지만, 바른정당이 교섭단체(20석) 지위를 잃고 영향력이 약화하면 추가적인 이탈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가령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의 경우 별도로 한국당으로 이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 탈당 사태로 제1야당인 한국당(107명)의 의석이 증가하면 한국당의 국회 내 위상이 강화될 전망이다. 바른정당의 원심력이 더 커질 경우 원내 제1당이 더불어민주당(121명)에서 한국당으로 바뀌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보수재편 이후에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자강파간 합종연횡이 관심사로 등장할 전망이다.
바른정당 자강파가 한국당과의 차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위축된 당세를 강화하기 위한 새판짜기를 시도하면 중도통합의 불씨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이 경우 호남인사 등의 반발로 중도통합 드라이브에 제동이 걸렸던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상당한 의석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바른정당과 결합하는 정치적 결단을 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는 국민의당 여건상 바른정당과 정책연대를 넘어 중도통합까지 가기는 어렵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지만, 안 대표가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이런 현실적인 제약을 뛰어넘는 정치적 선택을 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일단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서 한발 벗어나 있다. 여소야대(與小野大)에서 주도적인 국회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기는 하지만, 인위적인 정계개편은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전히 지지율이 고공 행진하면서 내부적으로 정계개편의 동인이 별로 없는 데다 민주당과 거리두기를 하는 안 대표가 제1의 협치 파트너인 국민의당을 이끄는 등 정계개편을 추진할 만한 여건이 되지 않은 점도 민주당의 '독자노선' 고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분석된다.
그러나 보수통합에 이어 중도통합 국면이 조성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국민의당의 이탈 움직임이 구체화할 경우 민주당도 정계개편의 물살에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굳이 정계개편이 아니더라도 민주당으로서는 입법과 예산 등 처리를 위해 야당의 협조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작년 12월 말에 구축된 원내 4당 체제가 바른정당의 탈당 사태로 붕괴하고 원내가 민주당과 한국당, 국민의당 3당 체제로 재편되면 '캐스팅보트'로서 국민의당의 위상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한국당이 민주당과 정면 대립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민주당으로서는 국민의당과 협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정치권 관계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종적인 바른정당의 탈당 규모와 안철수 대표의 선택 등이 향후 정계개편의 변수"라면서 "야권의 정계개편은 12월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이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민주당도 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solec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