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무인화·간병로봇·준자율차…2022년 달라지는 생활상

입력 2017-11-30 15:30   수정 2017-11-30 16:06

국방무인화·간병로봇·준자율차…2022년 달라지는 생활상

4차산업혁명 대응 분야별 지능화 혁신프로젝트 발표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30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심의·의결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에는 정부가 목표로 세운 2022년의 미래상이 담겨 있다.

저출산 고령화 추세 속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공장은 무인화되고 노인 간병·간호를 로봇이 담당한다. 국방 경계감시도 일부 무인화되기 시작한다.

미세먼지 등 생활에 밀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사물인터넷(IoT)과 센서 기술이 적용되며, 고속도로에는 꼭 필요한 긴급상황에만 사람이 운전하면 되는 '준자율주행차'가 달릴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정부가 마련한 분야별 대응계획이다.





◇ 의료

지금은 일부 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이뤄지고 있는 진료정보 온라인 교류가 전국으로 확산된다. 맞춤형 건강관리와 정밀진단·치료가 보편화되면서 평균 건강수명이 73세(2013년 기준)에서 76세로 늘어난다.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혁신 덕택에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 후보물질이 85개(2015년 기준)에서 129개로 대폭 늘어난다.


◇ 제조

'스마트공장'이 일반화된다. 지금은 대체로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정도로 기초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지만 2022년에는 스마트기술로 공장 생산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일이 일반화된다. 지능형 제조로봇의 도입이 늘어나면서 장애인이나 여성 등도 일자리를 얻을 기회가 늘어난다. 또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통해 부가가치가 높아지면서 제조업 생산기지의 국내 복귀도 활발해진다.





◇ 이동체

평상시에는 사람의 개입이 필요 없고 비상시 돌발상황에만 운전자가 조치를 취하면 되는 '3단계' 수준의 '준자율주행차'가 2020년부터 고속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라이다'(LIDAR) 등 핵심 부품이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개발되며, 내년에는 경기 화성에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가 마련된다.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책임 배분과 보험 제도 등 법제도 차원의 대응책도 2020년까지 만들어진다.

드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 기술 개발과 거점별 시험비행장 구축(2022년 강원 영월 등)도 함께 이뤄진다.

또 2022년부터는 선박에 대해서도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되고 법제도 정비가 이뤄져 '자율운항 선박'이 다닐 수 있게 된다.





◇ 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의 일환으로 일반주택에 지능형 전력계량기가 널리 설치돼 보급율이 100%에 이른다. 또 자체 태양광 발전 전력 등을 사고 팔 수 있는 소규모 전력 중개시장이 활성화돼 이른바 '스마트 그리드'가 전국으로 확산된다.

전기자동차용 대용량 고효율 충전시스템 등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도 개발된다.



◇ 지능형 금융·물류

금융 분야에서 신사업에 대한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가칭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제정(2018년 계획) 등을 통해 금융과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이른바 '핀테크' 사업이 규제 부담 없이 테스트되며, 이 분야 업체 수가 현재(208개)의 2배인 400개로 늘어난다.

또 로봇을 이용한 '스마트 물류센터'로 화물 처리 속도가 지금보다 33% 빨라지며, 자동화된 '스마트 항만'에서는 물류 처리 시간이 지금보다 40% 단축된다.



◇ 시티

사건·사고·재난이 발생했을 때 지방자치단체, 소방서, 경찰서 등이 관련 정보를 공유해 신속하게 대처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지금의 10개 도시에서 전국 80개 도시로 확산된다.

자율 작동 가전기기와 음성 제어를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스마트홈'이 보급돼 300만 가구가 이런 서비스를 누리게 된다.

건설장비 지능화 등 기술 혁신으로 건설분야 생산성이 지금보다 40% 높아진다.



◇ 교통

주요 고속도로와 안전취약 구간 도로를 중심으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가 도입돼 도로의 스마트화 비율이 올해(0.2%)보다 비약적으로 늘어난 35%에 이른다. 2020년부터는 지능형 신호등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2020년의 도심지 교통혼잡은 지금보다 10% 줄어든다.

또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능형 안전표지판 설치가 2020년부터 의무화되고,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기술도 보편화된다.







◇ 복지

노인과 장애인을 돌보는 '간병·간호 로봇'이 내년부터 개발돼 재활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 보급된다 또 치매 진단기술 개발로 치매 예측 정확도가 지금의 80%에서 2022년 95%로 늘어난다. 아울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등록되지 않은 사회취약계층을 상시적으로 찾아낼 수 있어 복지사각지대가 줄어든다.



◇ 환경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등 관련 기술을 총동원해 미세먼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오염을 감소시키는 노력에 힘입어 대기 중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지금보다 31% 낮은 18㎍/㎥ 수준으로 낮아진다. 또 센서가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상하수도가 일반화돼 그 비중이 상수도 26%, 하수도 49.6%로 높아진다.



◇ 안전

지능형 폐쇄회로TV(CCTV), AI 기반 범죄 분석, 드론을 활용한 순찰·추적 덕택에 83.9%(작년 기준)이던 범죄 검거율이 90% 수준으로 높아진다. 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후 시설물 유지관리 IoT 시스템이 보급되고, 최적 안전항로를 찾아내는 스마트 내비게이션이 모든 선박에 달리게 된다.







◇ 국방

저출산 추세에 따른 군 병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지능형 경계감시시스템이 2021년부터 개발된다. 이에 따라 현재 사실상 0%인 경계 무인화 비율이 단계적으로 늘어나 2025년에는 25%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AI 기반의 지능형 지휘체계가 2025년 도입돼 국방 체계가 더욱 효율화된다.







◇ 농수산업

농수산업에도 '스마트화'가 진행돼, 원격제어뿐만 아니라 자동제어 기반의 재배까지 가능한 '2세대' 스마트 농장과 스마트 양식장이 생긴다. 쌀 농업의 경우 기계화율이 현재 58%에서 2022년 75%로 높아진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채소와 양식 수산물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는 시스템이 도입돼 유통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수산물 유통 비용은 올해 55%에서 2022년 45%로 낮아진다.

지역별·농수산물품목별로 재해에 따른 피해 규모를 예측하는 '재해예측지도'가 2020년까지 만들어지며, 구제역 확산 예측·대응 모델도 2021년까지 개발된다.



solatid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