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구 단위로 제공해 체감과 거리…학교별 미세먼지 정보 제공도 검토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 성동구에 사는 직장인 박모(31·여)씨는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수치가 못 미덥다. 자치구 단위로 제공되는 미세먼지 정보가 분명 '좋음'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정작 밖에 나가보니 공기가 좋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봤을 만한 이런 사례가 이르면 2019년부터는 대폭 줄어든다. 미세먼지 정보를 지금의 자치구 단위에서 동(洞) 단위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018∼2019년 사업비 9억5천만원을 들여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기환경정보 시스템 재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현재 미세먼지 정보는 시내 25개 자치구마다 1곳씩 설치된 측정소 25곳의 자료를 토대로 자치구별로 제공된다.
그러다 보니 분명 동네마다 미세먼지 상황이 다름에도 같은 구라는 이유로 단일한 수치만 제공돼 현실성이 떨어지는 때가 많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자치구의 경계에 사는 주민의 경우 측정소 위치에 따라 도리어 다른 자치구의 정보가 실제에 근접하는 경우도 나오곤 했다.
시 관계자는 "어느 자치구에서 미세먼지 수치가 몇이라는 한 지점 위주의 정보에서 벗어나 수치에 해석을 넣어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서비스하려고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측정소 숫자를 늘리는 대신, 자치구별 측정소의 자료를 토대로 위치·지형·방향 등을 따져 동별 미세먼지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일종의 '동네별 예상 수치"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같은 자치구 안에서라도 지역마다 다른 미세먼지 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특히 단순한 미세먼지 수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일기예보처럼 일종의 '해설'을 곁들여 시민이 더욱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측정소를 늘리면 가장 정확하겠지만 동마다 미세먼지 측정소를 둘 수도 없어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며 "서울은 605㎢ 면적에 측정소가 25개 있는데, 다른 국가와 비교해 결코 적은 편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시는 내년 상반기 이 같은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정보화 전략 계획' 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계획과 범위를 짠 뒤, 내년 하반기께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을 공모할 방침이다.
시는 이 과정에서 학교별로 미세먼지 수치를 측정해 제공할 필요성이 있는지도 따져볼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외국은 간이식 미세먼지 측정기를 달아 그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며 "서울도 이러한 학교별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 내년 용역을 통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