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백' 뚫고 사회 진출 82년생 내집마련·육아문제 부담
조직 허리 70년생 '낀세대'…일선 은퇴 58년생 노후 걱정
(전국종합=연합뉴스) 출판사에 다니는 김민수씨는 82년생 개띠다. 풍요로운 시대에 태어났지만, 누구보다도 팍팍하고 우울한 청년기를 보냈다.
그는 '88만원 세대'로 불리던 01학번이다. 20대 태반이 백수라는 뜻을 가진 '이태백'이 유행하던 시절 바늘구멍 뚫기보다 어렵다는 취업난을 온몸으로 겪으면서 사회에 진출했다.
지방대학을 나온 그는 서울의 한 광고회사 인턴에 뽑혀 1년 남짓 객지생활을 했다. 그러나 정규직 관문은 끝내 열리지 않았고, 뒤늦게 시작한 경찰시험에서도 3차례 연속 쓴맛을 봤다. 서른 넘어서는 부모님께 손 벌릴 염치가 없어 대리운전과 막노동, 택배 배달까지 안 해본 일이 없을 정도다.
2년 전 그는 운 좋게 지금의 직장을 구했다. 그러나 친구 중에는 여전히 비정규직 상태에 머물러 있거나 취업을 포기한 경우도 많다.
동갑내기 권혜연씨는 40여장의 입사원서를 쓴 끝에 대기업에 들어가는 행운을 잡았다. 대학에서 그 흔한 동아리 활동 한 번 못 하면서 오로지 취업준비에만 매달린 결과다.
그러나 3년 전 결혼과 출산 과정을 거친 뒤로 조직에서 뒤처져 혼자만 고립된 듯한 기분이 든다. 올해 승진 연차가 되지만, 육아 휴직을 쓰면서 일찌감치 마음 접었다. 오히려 요즘에는 회사를 언제까지 다닐 수 있을지를 놓고 고민한다. "아이는 잘 크냐, 누가 보느냐"는 주변의 관심조차 퇴직을 강요하는 말처럼 가슴에 꽂힌다. 남편과는 집을 살 때까지 맞벌이를 약속했었다.
그는 "아직도 민간기업은 여성의 결혼을 업무 능력 상실로 연결 짓는 분위기"라며 "여성 입사 동기 7명 중 5명이 결혼을 하면서 회사를 떠났다"고 안타까워했다.
12살 많은 70년생 개띠의 삶도 별반 다르지 않다.
조직의 허리 층이어서 허구한 날 윗사람에 치이고, 부하 직원에 부대끼면서 고단하게 생활한다. 집에서도 한참 돈이 들어가는 자녀 뒷바라지를 하느라 정작 자신은 돌 볼 겨를이 없다.
89학번인 박성희씨도 그중 하나다. 학습지와 과외교사를 거쳐 몇 해 전부터 학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그는 아들 둘을 둔 '슈퍼맘'이다. 한창 손이 가는 초등학생을 건사하면서도, 학원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밤이건 새벽이건 책과 씨름한다. 피로가 누적된 상태지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교육비를 감당하려면 한눈팔 틈이 없다.
그는 친구와 마주할 때마다 자신을 '제2의 사춘기'라고 진단한다. 한 번쯤 삶의 궤적을 점검해야 할 시기인데도, 사는 게 바빠 그럴 수 없다고 한탄한다.
또래 중에는 지금이 바로 인생을 리모델링할 '골든타임'이라며 기득권을 과감히 내던지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잘 나가던 회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를 선언한 유옥진씨가 그렇다. 대학 졸업 후 20년 넘게 대기업 홍보팀과 광고회사에서 일한 그는 오롯이 자신만의 인생을 영위하기 위해 사표를 던졌다. 지금은 전국을 무대로 강의도 하고 홍보기획도 한다.
그는 "죽어라 일만 한 선배일수록 나이 들어 쓸쓸한 은퇴를 맞는다"며 "비록 몸이 고되고 수입도 줄었지만, 이번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황금 개띠 해'로 불리는 무술(茂戌)년 둘러본 개띠 두 세대의 자화상이다. 우리사회 몸통과 팔다리 역할을 하는 세대다 보니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숨 가쁘고 고단한 삶을 살고 있다.
이들과 더불어 또 하나의 주목받는 그룹은 올해 환갑을 맞아 노동시장에서 밀려나는 58년생 개띠다.
은퇴를 앞두고 너나없이 '안정된 노후'에 방점을 둔 노후설계를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부모 봉양과 자식 교육에 올인했을 뿐, 정작 자신을 위해 준비해 둔 게 별로 없다. "아직 젊다"고 큰소리치면서 재취업 시장을 두리번거리려봐도 만만한 일자리는 쉽게 나오지 않는다. 일부는 이 고단한 처지를 지금의 대한민국을 건설하는데 일조했다는 자긍심으로 위안받는다.
올해 현대중공업 퇴직을 앞둔 서정옥씨도 그중 한 사람이다. 1976년 전신인 현대조선소에 입사해 생산기술직 최고봉인 '기정'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기정'은 동갑내기 기술자 570명 중 단 2명한테만 부여된 칭호다.
그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걸음마를 시작하던 때 산업현장에 뛰어들어 세계 최고의 선박을 만드는 일에 청춘을 받쳤다. '일벌레' 소리를 들어가면서 40년 넘게 현장을 누볐고, 몸담은 회사가 세계 1위 조선소로 성장하는 모든 과정을 놓치지 않고 지켜봤다.
앞만 보고 달려온 조선산업 1세대에게 요즘 업계에 불어닥친 찬바람은 참으로 낯설고, 뼛속을 시리게 한다. 하루빨리 조선 산업이 위기에서 벗어나기를 염원하면서 작업복을 고쳐 입는다.
다음 달 중소기업 퇴직하는 임한근씨는 최근 고향(충북 영동)에 포도 농사지을 땅을 구입했다. 3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해 모은 돈 전부를 여기에 투자했다.
그는 "퇴직하면 여행이나 다니면서 쉴 계획이었는데, 막상 코앞에 닥치니 여생 준비가 급해졌다"며 "농부로 거듭나기 위해 농사를 배우는 중이라 아내와 약속한 크루즈여행도 10년 뒤로 미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베이비부머 세대 핵심인 이들의 은퇴가 사회 전반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한다. 70만명에 이르는 거대집단의 은퇴를 맞이할 정책과 시스템 개발이 급하다고 지적한다.
충북도립대 사회복지학과 박영 교수는 "노후준비에 소홀한 은퇴는 곧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다"며 "이들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치열한 삶 속에서 잊고 지낸 재능과 취미를 추구할 수 있는 사회교육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박병기 장영은 이우성 손현주 기자)
bgi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