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5m까지 쌓아올린 흙 걷어내는 기초작업 곧 시작…2월 말께 본격 발굴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사라진 사람들의 흔적을 찾는 작업이 옛 광주교도소에서 재개된다.
7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테니스장 일원에 매립된 흙을 걷어내는 작업이 곧 이뤄진다.
이 흙은 테니스장과 주차장을 조성하고자 최고 5m가량 높이로 쌓여 있다.
재단은 대형 굴착기를 투입해 이 흙을 모두 걷어내 1980년 당시 지형 상태로 복원한다.
작업 일정은 날씨 상황에 따라 조율한다.
터파기를 끝내고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전환하는 발굴조사는 행정안전부가 올해 사업비를 내려보내는 다음 달 말 또는 3월 초께 시작한다.
굴착기 동원에 필요한 예산은 지난해 편성을 마쳤다.
굴착기를 동원한 테니스장 지형복원은 본격적인 암매장 의심지 발굴조사를 준비하는 사전 작업이다.
지난해 발굴구간과 맞닿은 테니스장 일원이 약도에 등장한 암매장지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북쪽 담장 일원을 추가로 발굴 조사하기로 했다.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은 1980년 5월 당시 3공수여단 본부대대 지휘관이었던 김모씨가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5·18 희생자 암매장 관련해 진술과 약도로 표시한 곳이다.
재단 등 5·18단체는 검찰 조사기록과 약도를 토대로 지난해 11월 북쪽 담장으로부터 2.5∼5.0m 떨어진 길이 117m 구간을 유력한 암매장지로 추정하고 발굴에 나섰지만, 매립 쓰레기와 배관 줄기 등 굴착 이력만 확인했다.
본격적인 암매장 의심지 발굴조사를 재개하기 전까지 남은 두 달간은 옛 교도소 전역에서 현장조사를 이어간다.
남쪽 소나무숲·서쪽 담장 일원·남서쪽 감시탑 주변 등에서 지난해 발굴조사의 미흡했던 부분이 있는지 다시 점검하고, 추가 증언 수집과 현장확인을 한다.
소나무숲 등지는 암매장 제보와 땅속탐사레이더(GPR) 이상 반응이 중복으로 나타난 지역이나 지난해 발굴조사에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재단 등 5월 단체는 최근까지 100여건에 이르는 5·18 행방불명자 소재 관련 제보를 접수했는데, 정부 기록과 직접적인 증언이 존재하는 옛 교도소를 우선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옛 교도소에 희생자 시신을 묻었다는 기록과 증거는 존재하는데 아직 흔적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촘촘한 현장조사를 통해 의미 있는 내용이 나오면 향후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3공수 등 계엄군 병력 주둔지다.
전두환 신군부는 옛 교도소 일원에서 시민 28명이 숨졌다고 발표했지만,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재단 등 5월 단체는 옛 교도소에서 신군부 발표보다 많은 시민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