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 지난해 가을부터 제조업체의 품질조작이나 무자격 검사 등 부정이 속출한 일본에서 기업들이 품질관리체제를 속속 수정하고 있다.
NHK 방송이 지난달부터 일본 주요기업 100곳을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품질 파문 이후에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관리에 대해 '대책을 마련했다'(29곳)거나 '앞으로 강구하겠다'(13곳)고 답한 기업이 모두 42곳이었다고 24일 전했다.
부정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품질검사의 기계화나 자동화'를 꼽은 기업이 36곳에 달했다. 일손부족에 대응하는 동시에 품질관리를 위해서도 조작 여지가 있는 사람보다는 기계화를 택한 셈이다.
일본품질관리학회 오바라 고이치 회장은 "기계화나 자동화를 하게 되면 조작이나 스캔들이 줄어들 것이다. 사원교육, 부정을 숨기지 않고 개방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본 제조업계에서는 지난해 품질부정이 잇따라 밝혀지며 파문이 일었다. 작년 10월 고베제강소가 알루미늄과 구리 등 제품의 검사 데이터를 조작한 사실이 들통난 것을 시작으로 미쓰비시머티리얼과 도레이 자회사에서도 데이터 조작이 발각됐다.
닛산자동차와 스바루도 완성차 검사를 무자격자가 담당하다가 신뢰성 위기를 초래했다.
일련의 문제는 조직이 폐쇄적이어서 점검 기능이 작동하지 않았거나, 이익이나 납기를 우선해 품질을 경시하는 기업의 체질, 그리고 담당 부서의 일손부족 등이 원인으로서 지적됐다.
품질조작 뒤 15년 이상 장기간 예방대책을 보완하는 기업도 있다. 상용차업체 미쓰비시후소트럭버스는 2002년 생산한 트럭의 부품 문제로 2명이 사망하는 사고 뒤 경영진이 체포되기도 했다.
이후 고객이 제기한 차량 불량 정보를 은폐하던 기업 체질에 문제가 있었다고 반성, 품질관리 인력을 두 배로 늘리는 등 점검체제를 강화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14억 엔(약 136억 원)을 들여 하드웨어 측면의 개선에 착수했다. 검사실을 투명유리로 하고 조작 소지가 있는 부품 검사는 기계를 활용하며, 고객이 제기한 불량 정보는 공유 서버에 올리도록 했다.
tae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