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만의 '슈퍼·블루·블러드문'…전국 천문대 곳곳에 시민 북적
구름 탓 지역별 관측 지속시간 차이…"다음 개기월식은 7년 뒤"
(전국종합=연합뉴스) "구름이 걷히니 진짜 환상적이네요. 맨눈으로도 보여요."
지난달 31일 밤하늘에 휘영청 떠 있던 달이 어느 순간부터 점점 사라지자 수많은 시민은 신기하다는 듯 탄성을 질렀다.
수도권과 강원 지역 천문대 곳곳에는 진기한 우주쇼를 감상하려는 이들의 발길이 오후부터 이어졌다.
가족과 함께 국립과천과학관을 찾은 이승용(39)씨는 "실제로 볼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면서 왔는데, 진짜 보였다"며 "아들한테는 내색하지 않으려 했는데 무척 신기해 조금 들떴다"고 웃으며 말했다.
과학관이 마련한 천체망원경 30대 주변은 달을 더 자세히 보려는 방문객으로 붐볐다.
중학생 최문석(15)군은 "오늘 같은 개기월식을 몇 년 뒤에나 다시 볼 수 있다고 해서 왔다"며 "망원경으로 달을 보니 크기가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강원 춘천시 소양강변에 나온 시민들도 너나 할 것 없이 하늘을 바라보며 감탄사를 쏟아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질 때쯤엔 추위도 잊은 채 스마트폰으로 연방 촬영하기도 했다.
시민 김모(25)씨는 "우주쇼를 사진으로 담기 위해 인적이 드문 소양강댐에 왔다"며 "구름이 끼어 조금은 아쉽지만, 친구들과 함께 좋은 추억을 만들고 간다"는 소감을 전했다.
강원 화천군 조경철천문대와 경기 양주시 송암천문대 등지를 찾은 이들 역시 겨울밤 장관을 즐겼다.
이날 1982년 12월 이후 35년여 만이라는 '슈퍼·블러드·블루문'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됐다.
오후 8시 48분 6초 달의 일부분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관측됐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오후 9시 51분 24초에 시작돼 10시 29분 54초에 최대에 이르렀다.
이후 오후 11시 8분 18초까지 개기월식 상태가 지속했다.
이날 지구와 달 사이 거리는 35만9천307㎞였다. 평균 거리인 38만4천400㎞보다 2만여㎞ 가깝다.
이 때문에 평소보다 크게 보이는 '슈퍼 문'을 볼 수 있었다.
어두운 핏빛을 띠는 '블러드문'과 한 달에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 '블루문' 현상도 겹쳤다.
한국천문연구원이 매년 발행하는 역서에 따르면 달 총면적 중 밝은 부분 비율을 나타내는 달의 밝기 비는 0.995였다.
1에 가까울수록 밝다는 뜻인데, 이 정도면 보름달치고도 밝은 편에 속한다.
수도권 이남 지역에선 짙게 낀 구름 탓에 한동안 관측이 어려웠다.
그러나 오후 10시 30분 전후로 하늘이 개면서 전국 곳곳에서 "나도 봤다"는 목격담이 이어졌다.
충남 서산시 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을 찾은 시민들은 한동안 보이지 않던 개기월식 장면을 밤늦게부터 관측할 수 있었다.
대전 유성구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페이스북 생중계도 기상 상황 탓에 한때 차질을 빚다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국립대구과학관에는 1천여 명의 시민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구름 때문에 행여나 달을 볼 수 없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도 흘렀으나, 맨눈으로 개기월식을 볼 수 있게 되자 환호성이 터졌다.
관측 행사를 진행한 강선아(37·여)씨는 "오후부터 구름이 너무 많아 볼 수 없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운이 좋았다"며 기뻐했다.
전북에서도 부분적으로 개기월식을 볼 수 있었다.
제주, 부산, 울산, 경남, 충북 등지 천문대를 찾은 이들은 아쉬움 가득한 탄식 속에 일찌감치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일부 네티즌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TV 생중계 사이트를 찾아 시시각각 변하는 달의 모습을 감상했다.
부분월식은 자정 넘어 1일 0시 11분 36초까지 진행됐다.
우주쇼는 오전 1시 10분께 모두 끝났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 일정은 7년여 후인 2025년 9월 7일이다.
(백도인, 이덕기, 최병길, 류수현, 정회성, 강종구, 우영식, 이상학, 이승민, 김재홍, 전지혜, 김용태, 이재림)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